Browsing:

철학vs철학1

성즉리(性卽理)

By 0

성즉리(性卽理) 중국 북송 시대의 유학자 정이(程頤)의 주장으로 “인간의 본성[性]이 우주 전체의 이(理)나 외부 사물이나…

철학vs철학1

성선악혼설(性善惡混說)

By 0

성선악혼설(性善惡混說) 순자와 맹자의 입장을 절충하여 인간의 본성에는 선한 측면도 악한 측면도 있다고 주장했던 인성론이다.…

철학vs철학1

성선설(性善說)/성악설(性惡說)

By 0

성선설(性善說)/성악설(性惡說) 인성론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면 자율적인 수양이 정당성을 얻게 되고, 반대로 인간의 본성이…

철학vs철학1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

By 0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 맹자가 가장 껄끄럽게 생각했던 고자의 인간 본성론이다. 고자는 인간의 본성에는 선과 악이란 규정을…

철학vs철학1

성리학(性理學)

By 0

성리학(性理學) 성즉리(性卽理)라는 정이(程頤)의 철학적 테제에 입각해서 구축된 주희의 신유학 체계를 가리킨다. 인간의 본성[性]과 외부…

철학vs철학1

성교량(聖敎量, Āgama)

By 0

성교량(聖敎量, Āgama) → 현량/비량/비유량/성교량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2.

철학vs철학1

선종(禪宗)

By 0

선종(禪宗) → 율종/선종/교종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2.

철학vs철학1

선불교(禪佛敎)

By 0

선불교(禪佛敎) 동양 대승불교는 크게 교종과 선종으로 양분된다. 화엄종과 천태종으로 상징되는 교종이 지적인 통찰을 강조했다면,…

철학vs철학1

선물(gift)

By 0

선물(gift) 보드리야르가 자본주의를 넘어설 수 있는 교환 논리의 사례라고 긍정했던 것이다. 보드리야르에 따르면 선물은…

1 2 3 4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