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철학vs철학1

수양(self-cultivation)

By 0

수양(self-cultivation) 주체가 자신에게 주어진 주체 형식을 극복하고 새로운 주체 형식으로 거듭나려는 노력을 가리킨다. 서양의…

철학vs철학1

수리학(水理學, hydrography)

By 0

수리학(水理學, hydrography) 고대 중국의 제왕들은 자신의 능력을 치수(治水) 산업으로 증명해야만 한다. 치수는 기본적으로 하천의…

철학vs철학1

속성(accidens, attribute)

By 0

속성(accidens, attribute) 실체가 논의나 판단의 주어에 해당한다면 속성은 그것에 부여되는 술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철학vs철학1

소통(疏通)

By 0

소통(疏通)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어떤 공동체(community)로 타자를 편입시킨다는 의미를 가진다면, 반대로 소통은 타자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도모하기…

철학vs철학1

소인(小人)

By 0

소인(小人) → 대인/소인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4.

철학vs철학1

소산적 자연(natura naturata)

By 0

소산적 자연(natura naturata) → 능산적 자연/소산적 자연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3.…

철학vs철학1

소리(Sound)

By 0

소리(Sound) 플라톤 이래 서양철학은 청각보다는 시각에 특권적인 위상을 부여한다. 플라톤의 에이도스(ēidos)가 ‘보다’라는 뜻을 가진…

철학vs철학1

세계정신(Weltgeist)

By 0

세계정신(Weltgeist) 역사철학을 숙고하면서 헤겔이 제안했던 개념으로 개인들의 정신을 지배하고 조종하는 유일한 관념적 실체이다. 헤겔은…

철학vs철학1

세계–내–존재(In–der–Welt–sein)

By 0

세계–내–존재(In–der–Welt–sein) 후설은 인간의 마음이 무엇인가를 능동적으로 의식하는 지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는 달리 하이데거는…

1 2 3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