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과 스콜라 철학의 발전 ―13세기 중세대학 설립기를 중심으로― Die Rezeption der aristotelischen Philosophie und die Entwicklung der Scholastik ―Mit besonderer Bercksichtigung der…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과 스콜라 철학의 발전 ―13세기 중세대학 설립기를 중심으로― Die Rezeption der aristotelischen Philosophie und die Entwicklung der Scholastik ―Mit besonderer Bercksichtigung der…
12세기 초반 중세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 ―아벨라르두스(1079~1142)를 중심으로― The reception of Aristotle in the early twelfth century ―The case of Peter Abelard(1079~1142)― 강상진 서울대학교 가톨릭철학…
니체의 Übermensch에 있어서 Über와 Mensch의 의미 Die Bedeutung von Über und Mensch im Übermensch bei Nietzsche 정영도 동아대학교 가톨릭철학 2001, vol., no.3, pp. 74-93…
마르셀과 하이데거 ―불안(不安)의 개념(槪念)을 중심으로― G.Marcel und M.Heidegger ―Philosophie der Hoffnung― 정달용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철학 2001, vol., no.3, pp. 50-67 (18 pages) G704-001490.2001..3.002 한국가톨릭철학회 …
21세기와 마르셀(G.Marcel)사상의 의미 ―‘실존’과 ‘존재’ ‘신비’와 ‘희망’의 형이상학적 재발견― The meaning of Gabriel Marcel’s philosophy in the 21th century ―A metaphysical rediscovery concerning existence…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앙과 이성 Faith and Reason According to St. Thomas Aquinas 신창석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철학 2000, vol., no.2, pp. 47-75 (29 pages) G704-001490.2000..2.002 한국가톨릭철학회…
회칙 「신앙과 이성」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Encyclical Letter Fides et Ratio of John Paul Ⅱ 이재룡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철학 2000, vol.,…
하느님의 구원경륜과 인간의 생태윤리 : 21세기 인류의 전망에서의 윤리 연구 Economia Divina and Eco-ethica Humana : Ethical Research in Perspective of Humanity in the…
한국 그리스도교 생활에 대한 철학적 성찰 ―그 인간학적, 정치철학적, 형이상학적 의의― Philosophical Meditations on Korean Christian Life : Its Anthropological, Political, and Metaphysical Implications…
성 보나벤투라의 “신앙과 이성” Fides et Ratio According to St. Bonaventure 박장원 작은형제회 수도자신학원장 가톨릭철학 2000, vol., no.2, pp. 79-95 (17 pages) G704-001490.2000..2.003 한국가톨릭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