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국방/외교

육군 일등중사 강흥태
By 0

소속: 육군 제7사단 제3연대 계급: 일등중사 군번: 9000424 성명: 강흥태 (姜興泰) 강흥태 일등중사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7사단 제3연대에서 복무하였다. 제7사단은 1949년…

육군 일등중사 강희남
By 0

소속: 육군 제7사단 제3연대 계급: 일등중사 군번: 5307196 성명: 강희남 (姜喜南) 강희남 일등중사는 1928년 11월 3일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7사단 제3연대에서…

육군 일등중사 강희봉
By 0

소속: 육군 제5사단 제36연대 계급: 일등중사 군번: 0656997 성명: 강희봉 (姜熙奉) 강희봉 일등중사는 1932년 7월 14일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면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5사단 제36연대에서…

육군 이등상사 강희만
By 0

소속: 육군 제11사단 제13연대 계급: 이등상사 군번: 1203030 성명: 강희만 (姜熙萬) 강희만 이등상사는 충청남도 아산군 송악면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11사단 제13연대에서 복무하였다. 제11사단은 1950년…

소련군 철수
By 0

한반도에 출현한 38도선은 한민족을 가르는 남북의 분단선인 동시에 동북아시아에서 양대 진영의 분단선이었다.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의 한반도 문제를 구체화하려는 제1⋅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면서 미국이 한반도 문제를…

북한 점령정책
By 0

소련의 제25군사령관 치스챠코프는 1945년 8월 24일 함흥으로 들어가면서 조선인민에게 낸 포고문에서 “당신들 수중에 행복이 있다”고 해방을 선언하면서도, 38선 분할에 관하여는 언급을 하지 않고 있었다.…

소련군의 북한점령
By 0

해방 직후부터 미⋅소 공동위원회가 최종적으로 결렬되기 이전까지 소련은 한반도내 “소련에 우호적인 정부를 구성한다”는 기본목표를 추진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소련은 해방직후 북한에서 소위 ‘사회주의 구축(構築)’이라는…

장기비상근예비군, 학교기관 교육을 받다
By 0

3년차 3월이 되었다. 이번달의 가장 큰 이벤트는 ‘견인포 운용 교육’. 포병학교에서 교관이 파견와서 1주간은 정비, 1주간은 전포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고 했다. 교육대상은 4개 포병대대,…

군의 재편성
By 0

소련에서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승리는 히틀러의 침공 8개월 후인 1942년 2월 23일 스탈린 지시 55호를 통하여 제창한 바 있는 ‘항상적(恒常的) 작전요인’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사례로 받아들여졌다.…

지휘부의 개편
By 0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평시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군사력 감축은 병력과 장비의 감축만으로 완료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전후 소련 당국은 결과적으로 2차에 걸쳐 군 지휘부를…

1 14 15 16 17 1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