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방 직후 북한에는 치안유지를 자처하면서 자생적인 무장단체들이 조직되었다. 즉, 민족주의 계열의 ‘자위대’(自衛隊), 국내파 공산주의자들이 조직한 ‘치안대’(治安隊), 소련군 진주 후 각 도청 소재지 중심으로 결성…
해방 직후 북한에는 치안유지를 자처하면서 자생적인 무장단체들이 조직되었다. 즉, 민족주의 계열의 ‘자위대’(自衛隊), 국내파 공산주의자들이 조직한 ‘치안대’(治安隊), 소련군 진주 후 각 도청 소재지 중심으로 결성…
중국의 전통적인 방어전략을 이어받아서 모택동은 “타국이 침범하지 않으면, 이를 치지 않고, 타국이 침범하면 반드시 친다(人不犯我, 我不犯人, 人若犯我, 我必犯人)”는 방어전략을 기본 방침으로 정하였다. 또한, 중국…
중국은 그 어느 나라보다도 한국과 오랜 역사를 거쳐서 지리적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일제시기에도 좌우익세력을 포함한 한국의 독립운동세력은 중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고…
1949년 10월 2일, 소련은 중국정부 승인을 발표하고, 광동(廣東)에 있는 국민당 정부와의 외교관계를 단절하고 중화인민공화국정부와 대사를 교환하기로 결정하였다. 국민당 정부는 소련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할 것을 결의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중국문제는 아시아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미국은 극동에서 소련의 팽창을 막기 위하여 중국을 세계 4대강국의 위치로 끌어올려 전후 아시아의 세력균형을…
① 북한군 증강 지원 소련군의 철수발표 직후 북한의 김일성, 박헌영 일행은 모스크바를 방문하였다. 그의 소련행은 명목상 북한 경제지원과 군사지원문제로 논의한다고 하였지만 주목적은 무력통일론에 대한…
소속: 육군 제5사단 제27연대 계급: 이등중사 군번: 8807753 성명: 강호진 (姜鎬鎭) 강호진 이등중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가덕동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5사단 제27연대에서 복무하였다. 제5사단은 1949년…
소속: 육군 제7사단 제8연대 계급: 이등중사 군번: 9201533 성명: 강호희 (姜浩喜) 강호희 이등중사는 1930년 2월 24일 충청북도 청원군 이척면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7사단 제8연대에서…
소속: 해군 704함정대 계급: 이등병조(중사) 군번: 8112039 성명: 강홍구 (姜洪求) 강홍구 이등병조는 경기도 광주군 서부면에서 태어나 해군에 입대하여 704함정대에서 복무하였다. 한국전쟁 발발 당시 해군은…
소속: 육군 제6사단 계급: 일등중사 군번: 1803635 성명: 강홍구 (姜洪求) 강홍구 일등중사는 1929년 12월 13일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6사단에서 복무하였다. 제6사단은 1949년 5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