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 직후 북한에서 군정을 시작할 때 각 지방 소재 소련군정 대표들은 위수사령관들이었으나 이들 대다수는 순수한 군인들이었기 때문에 경험이나 준비 상태의 측면에서 정치․경제 문제의 처리에…
광복 직후 북한에서 군정을 시작할 때 각 지방 소재 소련군정 대표들은 위수사령관들이었으나 이들 대다수는 순수한 군인들이었기 때문에 경험이나 준비 상태의 측면에서 정치․경제 문제의 처리에…
일본군이 항복하고 소련군이 진주할 때 북한지역에서는 다수의 자치단체들이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었다.(자위대, 보안대, 치안유지위원회, 건국준비위원회지부 등의 이름으로 결성된 단체들이었다.) 이들 단체들은 주로 광복 직후 권력…
미 군정기간의 경제는 침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해 산업생산력이 80%까지 감축되었다. 예컨대, 탄광은 실질적으로 휴면상태였으며, 어업은 해방 당시 일본인이 가져갈 수 있는 모든 선박과 어구를 가져갔으므로…
이승만 정부는 신생 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하여 민주주의 발전, 민생안정, 경제건설 등과 남북통일의 과제가 부과되었다. 그러나 남한 내 좌익이 무장투쟁을 전개했고 북한이 38선 충돌을…
미⋅소의 의견대립으로 2차에 걸친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유엔총회의 결의에 따라 남한에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국내세력 가운데 선거참여를 거부한 중간세력이 배제되고, 이미 1946년 6월 통일정부가 여의치 않으면…
좌우합작운동은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통일정부의 수립을 위해서 좌 우익의 편파적 노선을 극복하고 좌우합작이 필요하다는 여운형과 김규식의 논의와, 소련과 협상을 재개하고 남한에서 미국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려는…
일제의 핍박과 회유에도 불구하고 민족의 광복을 위해 투쟁하여 왔던 독립운동 세력들은 ‘중경 임시정부’를 비롯하여 어느 단체도 연합국으로부터 승인을 얻지 못했고 효과적인 지원도 받지 못했다.…
1945년 8월 15일 정오, 일본왕이 목멘 소리로 연합군에 대한 무조건 항복을 선언함으로써 드디어 한국은 36년간 억압과 착취가 이루어졌던 식민지 상황에서 해방되었다. 이 날을 온…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에서도 협의대상에 대한 합의를 보지 못하자, 미국은 미⋅영⋅중⋅소 4대국 회담으로 한국문제를 이관할 것을 제안했다. 영국과 중국은 4개 국 회담 초청을 받아들였으나 소련은 그…
미⋅소 양국은 카이로선언의 ‘적당한 절차’를 구체화하는 방안으로 신탁통치를 실시하려고 하였다. 이미 1945년 10월 20일, 미 국무부 극동과장 빈센트(John C. Vincent)는 “조선이 다년간 일본에 예속되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