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6·25전쟁사

소련군의 북한점령
By 0

해방 직후부터 미⋅소 공동위원회가 최종적으로 결렬되기 이전까지 소련은 한반도내 “소련에 우호적인 정부를 구성한다”는 기본목표를 추진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소련은 해방직후 북한에서 소위 ‘사회주의 구축(構築)’이라는…

군의 재편성
By 0

소련에서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승리는 히틀러의 침공 8개월 후인 1942년 2월 23일 스탈린 지시 55호를 통하여 제창한 바 있는 ‘항상적(恒常的) 작전요인’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사례로 받아들여졌다.…

지휘부의 개편
By 0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평시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군사력 감축은 병력과 장비의 감축만으로 완료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전후 소련 당국은 결과적으로 2차에 걸쳐 군 지휘부를…

재무장 정책
By 0

제2차 세계대전 후 살얼음판을 걷듯 신중하던 미⋅소의 관계가 1948년 말을 고비로 급격히 냉각되었다. 냉전이 표면화되면서 소련의 대외(對外)정책도 1920년대로 회귀했다. 소련 내에서 소위 “적에게 포위된…

군비감축 정책
By 0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고 경제를 재건하기 위해 대대적인 군비감축을 감행하기 시작하였다. 종전 직후 소련은 군비 감축의 일환으로 1945년 5월…

소련의 정세
By 0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은 전쟁 그 자체의 종결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국제세력 판도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다. 소련의 세력지배 하에 있던 동독, 폴란드(Poland), 헝가리(Hungary), 루마니아(Rumania), 불가리아(Bulgaria), 유고슬라비아(Yugoslavia),…

미국의 대한(大韓) 군사원조
By 0

주한미군 철수를 저지하기 위한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게 되자, 한국 정부는 외교방향을 미국의 군사원조를 획득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다. 한국 정부는 대미외교활동을 위해 1949년 3월초 조병옥(趙炳玉) 박사를…

주한미군군사고문단 설치
By 0

주한미군사고문단 창설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이에 따른 주한미군 철수에서 비롯되었다. 1948년 8월 15일 주한미군사령관 하지(John R. Hodge) 중장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이승만 대통령과 회담을…

미국의 한국군 육성 목표
By 0

1948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에 따라 남한에 있는 일본군의 무장해제와 치안유지, 그리고 한반도에서의 통일된 자유민주국가 수립을 돕기 위해 남한에 들어왔던 주한미군에 대한 철수문제는…

미국의 주한미군 철수정책
By 0

미국에서 주한미군 철수문제는 1947년 주무부처인 미 국무부와 국방부가 서로 대립된 견해차이를 보이면서 전개되었다. 미 국무부는 1945년 9월 미군정 수립부터 1947년 초반까지 국방부의 조기철군 주장을…

1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