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육군은 미 군정하 조선경비대가 1948년 11월 30일 공포된 국군조직법에 따라 발족되었다. 정부조직법 에 따라 정부의 11개 부서가 구성될 때 국방부가 설치되었고, 8월 15일…
대한민국 육군은 미 군정하 조선경비대가 1948년 11월 30일 공포된 국군조직법에 따라 발족되었다. 정부조직법 에 따라 정부의 11개 부서가 구성될 때 국방부가 설치되었고,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국방부는 건군(建軍)의 이념적 토대로 대한민국 헌법전문에 나타난 자유민주주의, 국제평화주의, 자주독립정신, 의병․독립군․광복군의 민족 항쟁정신, 그리고 반공정신을 근간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이범석…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헌법 제75조에 근거를 둔 정부조직법이 공포되자 이에 따라 국무원과 행정부가 조직되었다. 국방부는 정부조직법 제14조에 의하여 설치되었는데, 국방부장관의 직무는…
국방부는 1948년 7월 17일 정부조직법에 의해 설치되었지만, 실제로 국방부장관 취임식은 정부수립 다음날인 8월 16일 조선경비대사령부 영내에서 거행되었다. 또한 이날 통위부 건물에서 국방부 업무에 대한…
1945년 11월 13일 설치된 미군정 군사담당기구인 국방사령부 내에는 공군 창설에 관한 내용이 없었다. 이에 광복 이전부터 항공계에 종사해 왔던 항공인들이 뜻을 모아 1946년 8월…
해군 창설의 원로인 손원일(孫元一)과 정긍모(鄭兢謨)는 1945년 8월 21일 군사단체인 해사대(海事隊)를 조직하였다. 해사대는 미 군정하에서 일시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가담하였으나, 해안경비와 해양발전에 목표를 두고 순수한 군사단체 편성에…
조선경비대총사령부는 최초 당시에는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였다가 조선국방경비대가 조선경비대로 바뀜에 따라 조선경비대사령부로 개칭되었다. 경비대총사령부에는 총사령관과 총참모장이 있고, 그 밑에 참모부가 있었다. 참모부로는 최초 고급부관실․인사과․정보과․작전과․보급조달과 등 과(課)로…
뱀부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경비대 창설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최초 명칭은 조선경찰예비대(Korean Constabulary Reserve)였으나, 한국의 입장에서는 국군의 모체라는 의미에서 조선경비대(朝鮮警備隊)라고 불렀다. 조선경비대창설이 시작되면서 광복 이후…
조선경비대(朝鮮警備隊)는 대한민국 육군의 전신으로 최초 창설의 목적은 국립경찰의 보조였다. 조선경비대의 명칭도 최초에는 남조선국방경비대(南朝鮮國防警備隊)였다가 미 · 소공동위원회에서 소련측 대표가 국방이라는 용어 사용에 항의하자, 국방부를 통위부로…
통위부(DIS : Department of Interior Security)는 미 군정기에 설치된 조선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를 통할(統轄)하는 국방에 관한 최고 군사기구였다. 통위부는 미 군정청의 중앙행정부서로서 국방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