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선일체를 강조한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을 위해 1937년 이후에 추진 • 국민 총력 조선 연맹이 발행한 회보가 제시,…
• 내선일체를 강조한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을 위해 1937년 이후에 추진 • 국민 총력 조선 연맹이 발행한 회보가 제시,…
• 경복궁 내의 조선 최초의 전등이 가설되었다 → 1887년 • 알렌의 건의로 광혜원이 세워졌다 → 1885년 • 박문국에서 한성순보가 발행되었다 → 1883년 • 무기…
•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켰다는 점을 통해 을사의병(1905)임을 알 수 있다. 최익현은 을사늑약에 반발하여 전라도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신돌석은 을사의병 당시 최초의 평민…
•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을 전개 → 대한 자강회(1906~1907) • 여성 권리 선언문인 여권통문(1898)을 공표 → 서울 양반 여성들 •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 황토현 전투에서 승리하다 → 1894년 4월 • 백산에 모여 4대 강령을 선포하다 → 1894년 3월 • 최시형이 동학의 2대 교주가 되다 → 1863년…
• 회답 겸 쇄환사로 파견 → 임진왜란 이후 일본으로 파견 • 조선책략을 처음으로 소개 → 제2차 수신사로 파견된 김홍집 •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등이…
• 신미양요(1871) 이후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워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널리 알렸다 → 흥성대원군 • 각 궁방과 중앙 관서의 공노비를 해방 → 조선…
• 정부의 탄압으로 최제우는 사형 → 2대 교주 최시형의 노력으로 1880년부터 교세가 크게 확장되었다 •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 → 개신교 •…
• 삼정의 문란을 해결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두었다 → 조선 철종 • 조선의 제22대 국왕, 규장각을 설치, 신해통공, 초계신문제를 시행 → 조선 정조 • 훈련도감…
• 조선은 한양에 동평관을 두어 일본 사신을 접대하였으나 임진왜란때 폐쇄하였다 • 하정사, 성절사, 동지 등 사절단을 보내었다 → 조선의 명, 청에 대한 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