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유재산(private property) 자본주의 사회를 정당화하는 핵심 논리 중 하나이다. 사유재산에 대한 정당화는 인간, 정확히 말해 인간의 정신은 자신의 육체를 소유하며, 나아가 육체적 노동을 통해…
사유재산(private property) 자본주의 사회를 정당화하는 핵심 논리 중 하나이다. 사유재산에 대한 정당화는 인간, 정확히 말해 인간의 정신은 자신의 육체를 소유하며, 나아가 육체적 노동을 통해…
사유(thinking) 인간을 규정하는 본질적인 능력을 가리킨다. 사유 주체, 즉 코기토를 발견했던 데카르트에게 있어 사유는 회의, 이해, 사망, 상상, 느낌 등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었지만, 칸트는…
사용가치(use value) → 교환가치/사용가치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78.
사성제(四聖諦) 불교를 창시했던 싯다르타가 치열한 수행 끝에 깨우친 고(苦), 집(集), 멸(滅), 도(道)에 대한 가르침을 말한다. 고는 삶의 고통에 대한 가르침, 집은 고통을 발생시키는 집착과…
사랑(love) 우발적으로 만남 타자로부터 삶의 긍정과 기쁨에 이르러 상대방의 부재로 심한 고통을 경험하게 되는 감정이다. 사랑한다는 것은 정확히 말해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으려는 무의식적인…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 사단은 측인지심 등 인간의 선한 본성으로부터 출현했다는 네 가지 윤리적 마음을, 칠정은 즐거움, 노여움 등과 같은 인간의 일곱 가지 현실적 마음을 가리킨다. 기대승과…
사단(四端)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의 핵심이 되는 개념으로 인간의 본성에서 직접 나오는 네 가지 마음을 의미한다. 타인의 고통에 대한 동정심이라고 할 수 있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자신과 타인의…
비판적 합리주의(critical rationalism) 인간의 이성을 신뢰하지만 이성에 의해 만들어진 모든 법칙은 경험이란 시험대를 통과해야만 한다는 포퍼의 입장이다. 과학의 발달이 이성적 추론과 주장, 그리고 반증을…
비인칭성(impersonality) → 인칭성/비인청성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77.
비량(比量, Anumāna), 비유량(譬喩量, Upamāna) → 현량/비량/비유량/성교량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