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 아도르노와는 달리 나치 전체주의의 기원을 인간의 ‘무사유’에서 찾았던 현대 여성철학자. 그녀는 ‘사유’가 인간에게 주어진 기능이 아니라 반드시 수행해야만 하는 의무라고 규정한다.…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 아도르노와는 달리 나치 전체주의의 기원을 인간의 ‘무사유’에서 찾았던 현대 여성철학자. 그녀는 ‘사유’가 인간에게 주어진 기능이 아니라 반드시 수행해야만 하는 의무라고 규정한다.…
아도르노(Theodor Wiesengrund Adorno, 1903~1969) 나치 전체주의가 발생할 수 있었던 이유로 ‘차이’를 억압하고 ‘동일성’을 추구했던 인간 이성을 지목했던 독일의 현대철학자. 단독적인 개체들을 분류하고 규정하는 동일성을…
아감벤(Giorgio Agamben, 1942~ ) 벤야민의 정치철학적이고 문화철학적인 통찰을 너무나 사랑했던 현대 이탈리아 철학자. 그를 흥분시킨 것은 벤야민의 두 논문이다. 하나는 법과 폭력의 무제를 다루고…
싯다르타(Gautama Siddhārtha, BC563?~BC483?) 이도 전통의 형이상학적 자아(ātman) 이론을 부정하고 ‘무아'(anātman)를 주장하면서 현세에서의 자유를 추구했던 불교의 창시자. 석가모니(釋迦牟尼)라고도 불리는 그는 원래 석가족이 살고 있던 카필라바투(Kapilvastu)라는…
신수(神秀, 606?~706) 선종(禪宗)의 계보에서 혜능에게 6조(祖)의 자리를 빼앗긴 것으로 등장하는 비운의 승려. 혜능을 신봉했던 남종선(南宗禪) 계열이 선불교에서 패권을 차지하자, 그는 자신이 이끌었던 북종선(北宗禪)과 함께…
승조(僧肇, 374~414) 윤회설에 아직도 허우적거리고 있었던 당시 불교계에 맞서 나가르주나의 공(空) 개념의 중요성을 천명했던 중국 동진(東晉) 시대의 불교 사상가. 구라마집(鳩摩羅什, Kumārajīva)의 불경 번역 사업에…
스피노자(Baruch de Spinoza, 1632~1677) 신의 지배를 받았던 인간을 신적인 지위로 격상시켰던 근대 최고의 인문주의 철학자. 자유도시 암스테르담의 자식으로서 그는 치밀하고 파괴적인 자연주의 철학을 구성한다.…
스트로슨(Peter Frederick Strawson, 1919~ ) 프레게로부터 시작되어 러셀에 이르러 완성된 기술 이론(theory of description)에 대한 가장 강력한 비판자였던 영국의 현대철학자. 고유명사를 몇몇 술어들로 해체하려는…
스즈키 다이쎄쓰(鈴木大拙, 1870~1966) 한때 서양에 선불교(禪佛敎)의 열풍을 만들었던 일본의 불교 사상가. 20세기 중엽 미국 호텔 객실에는 『성경』과 아울러 선불교와 관련된 그의 영어 책들이 같이…
슈티르너(Max Stirner, 1806~1856) 개인의 삶은 다른 어떤 가치로도 환원할 수 없는 절대적인 것이라고 천며했던 독일의 아나키스트. 철저한 개인주의자로 오해되고 있지만 그가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대(association)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