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철학 VS 철학

철학vs철학1
과정철학(process philosophy)
By 0

과정철학(process philosophy) 불변하는 본질에 대한 신앙을 버리고 세계의 보든 것은 부단한 변화 과정에 있다고 보는 철학적 입장으로 화이트헤드가 자신의 주저 『과정과 실재』에서 피력했다. 제목…

철학vs철학1
공동체(community)
By 0

공동체(community) 공통적인 삶의 규칙, 다시 말해 언어와 관습 등을 공유하고 있는 인간 집단을 말한다. 그렇기 대문에 공동체는 개체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 같지만, 동시에 개체로부터…

철학vs철학1
공간(space)
By 0

공간(space) → 시간/공간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62.

철학vs철학1
공(空,Śūnyatā)
By 0

공(空,Śūnyatā)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양한 원인과 조건들의 결합으로, 다시 말해 인연(因緣)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이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존재에는 불변하는 본질이나 자기동일성,…

철학vs철학1
고정 지시어(rigid designator)
By 0

고정 지시어(rigid designator) 고유명사를 몇몇 기술구들로 해체하려는 러셀의 시도에 맞서, 크립키는 고유명사란 ‘고정 지시어’이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고 반박한다. 어느 집안에 딸이 태어났고 누군가가…

철학vs철학1
고유명사(proper noun, proper name)
By 0

고유명사(proper noun, proper name)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제1실체를 가리키는 언어적 표현으로, 결코 술어가 될 수 없는 명사이다. “강신주는 남자다”는 가능한 문장이지만, “남자는 강신주이다”라는 문장은 불가능한…

철학vs철학1
고(故)/우(偶)
By 0

고(故)/우(偶) 왕충의 사유를 관통하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이다. 고(故)라는 글자가 ‘이유’, ‘목적’ 등을 의미한다면, 우(偶)라는 글자는 ‘마주침’을 의미한다. 왕충은 세계의 모든 것에는 이유나 목적이…

철학vs철학1
계보학(genealogy, Genealogie)
By 0

계보학(genealogy, Genealogie) 『도덕의 계보』(Zur Genealogie der Moral)를 썼던 니체에서부터 철학적 중요성이 부각되었던 학문의 방법론이다. 이 책에서 니체는 도덕을 주어진 것으로 다루기보다 어떤 논리로 도덕이…

철학vs철학1
경험론(empiricism)
By 0

경험론(empiricism) 인간이 알고 있는 모든 지식은 경험으로부터만 유래한다는 입장으로, 근대철학 초기 영국을 중심으로 로크, 흄, 버클리 등이 제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합리론이 경험과 무관한 인간의…

철학vs철학1
겸애(兼愛)
By 0

겸애(兼愛) 공자가 주장했던 인(仁)이 개념이 귀족 계층에게만 적용되는 제한된 애정에 불과했다면, 묵자가 제안했던 겸애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애정을 의미한다. 묵자는 전쟁과 갈등의 기원을…

1 15 16 17 18 19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