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철학 VS 철학

철학vs철학1
다중(multitude)
By 0

다중(multitude) 이타리아 현대철학자 네그리의 용어로 어떤 이념에 복종하는 획일적 집단이 아니라 기쁨으로 공명하는 이질적인 개체들의 우발적 연대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네그리에 따르면 다중은 자본의 세계화라는…

철학vs철학1
다자(many)
By 0

다자(many) 다른 것으로 환원될 수 없는 단독성(singularity)을 가지고 존재하는 다양한 개체와 사건들을 의미한다. 화이트헤드나 들뢰즈에게 있어 다자는 이접적으로, 즉 서로 무관한 채 병존하지만 어느…

철학vs철학1
다르마(dharma)
By 0

다르마(dharma) → 아트만/다르마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67.

철학vs철학1
니르바나(nirvāna)
By 0

니르바나(nirvāna) → 열반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67.

철학vs철학1
능산적 자연(natura naturans)/소산적 자연(natura naturata)
By 0

능산적 자연(natura naturans)/소산적 자연(natura naturata) 스피노자가 사용한 말로서 ‘능산적 자연’이 자연이 가진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측면을 가리킨다면, ‘소산적 자연’은 자연이 가진 수동적이고 결과적인 측면을 가리킨다.…

철학vs철학1
논리철학(philosophy of logic)
By 0

논리철학(philosophy of logic) 유효한 추론들의 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논리학을 반성하는 철학 분과이다. 인간이 가진 추론 능력, 즉 이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현대판 합리론이라고 할…

철학vs철학1
노장철학(老莊哲學)
By 0

노장철학(老莊哲學) 노자가 도가 사유를 시작했고 장자가 노자의 사유를 심화시켰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학술 용어이다. 이 용어는 공자와 맹자의 유학 사상을 ‘공맹사상’ 혹은 ‘공맹철학’으로 부르는…

철학vs철학1
노에시스(noesis)/노에마(noema)
By 0

노에시스(noesis)/노에마(noema) 정신을 의미하는 희랍어 누스(nous)로부터 유래한 말로 우리 의식에 주어진 사태 자체로 되돌아가자고 했던 후설 현상학의 핵심 개념들이다. 노에시스가 어떤 사태를 지향하는 우리의 마음의…

철학vs철학1
내포(intension)/외연(extension)
By 0

내포(intension)/외연(extension) 논리학은 하나의 개념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고 말한다. 그 하나가 내포이고, 다른 하나는 외연이다. 내포라는 것은 어떤 개념이 함축하는 성질이고, 외연은 그 개념이…

철학vs철학1
내재성(immanece)
By 0

내재성(immanece) 초월성과 더불어 세계를 설명하는 두 가지 입장 중 하나로, 프랑스의 현대철학자 들뢰즈에 의해 강하게 피력되었다. 내재성의 입장을 따르는 사람들은 세계를 설명할 때 세계를…

1 12 13 14 15 16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