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철학 VS 철학

철학vs철학1
매개(mediation)
By 0

매개(mediation) A와 B 사이에 개입하여 그것을 연결시키는 작용을 말한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매개에는 일종의 아이러니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매개란 표면적으로 A와 B를 연결시켜주는 듯이…

철학vs철학1
망각(忘, forgetfulness)
By 0

망각(忘, forgetfulness) 플라톤이 상기설은 제안했을 때부터 서양철학에서의 내면은 기억에의 의지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 서양철학 전통을 가장 근본적으로 숙고했던 니체는 기억이란 일종의 소화불량에 지나지 않는다고…

철학vs철학1
마주침의 유물론(matérialisme de la recontre)
By 0

마주침의 유물론(matérialisme de la recontre) 국가사회주의라는 사생아적 전체주의로부터 맑스의 해방적 사유를 지키기 위해 알튀세르가 맑스에게 부여했던 철학이다. 마주침의 유물론은 고대 원자론과 클리나멘(clinamen) 개념을 토대로…

철학vs철학1
마음(心)
By 0

마음(心) 컴퓨터에 비유한다면, 마음은 감각을 통해 들어오는 것을 판단하고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렇지만 동양 전통이나 서양 현대철학의 현상학 전통은 마음의 작용을…

철학vs철학1
리좀(rhizome)
By 0

리좀(rhizome) 들뢰즈는 전통 사유가 나무의 이미지로 작동했다면, 자신이나 앞으로의 철학은 리좀의 이미지로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던 적이 있다. 리좀이란 땅속에서 부단히 증식하면서 다른 뿌리줄기와 연결되기도…

철학vs철학1
로고스(logos)
By 0

로고스(logos) 고대 그리스에서 로고스는 법칙이나 언어를 모두 의미했던 용어였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로고스가 기본적으로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화 상황을 전제로 해서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철학vs철학1
동일성(identity)/차이(difference)
By 0

동일성(identity)/차이(difference) 형대 프랑스철학에 도달하기 전까지 서양 사유는 기본적으로 동일성을 중심으로 사유를 전개했다. 당연히 차이는 동일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파생되는 찌꺼기와 같은 범주에 지나지 않았다. 두…

철학vs철학1
동일률(principle of identity)/모순율(law of contradiction)
By 0

동일률(principle of identity)/모순율(law of contradiction) 동일률은 논리학의 기본 원리로서 하나의 동일한 명제는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일 수 없다는 원리를 말한다. 형식적으로 동일률은 “A는 A이다”라고 표시된다.…

철학vs철학1
동심(童心)
By 0

동심(童心) 이탁오(李卓吾)로 더 유명한 이지(李贄)의 사유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이다. 그에게 있어 동심은 임금님의 귀를 당나귀 귀라고 외칠 수 있는 혁명적 마음, 혹은 진솔한 마음을…

1 10 11 12 13 14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