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학(實學) 주희로 상징되는 신유학의 형이상학적 경향을 극복하고 공자와 맹자의 유학 사상을 되찾으려는 18, 19세기 동양 유학의 경향이다. 흔히 실사구시(實事求是)를 강조한다고 해서 경험과학을 긍정한 것으로…
실학(實學) 주희로 상징되는 신유학의 형이상학적 경향을 극복하고 공자와 맹자의 유학 사상을 되찾으려는 18, 19세기 동양 유학의 경향이다. 흔히 실사구시(實事求是)를 강조한다고 해서 경험과학을 긍정한 것으로…
실체(ousia, substantia, substance) 아리스토텔레스의 핵심 개념으로서 제1실체와 제2실체로 나누어진다. 제1실체란 다양한 변화를 겪지만 일시적이나마 자기동일성을 유지하고 있는 개체들을 가리키고, 제2실체는 개체와는 무관하게 보편적인 자기동일성을…
실존(實存)/탈존(脫存, existence) ‘existence’라는 말은 일본 학자들에 의해 실존이라고 번역되었다. 그렇지만 ‘existence’는 사르트르나 메를로-퐁티가 이야기했던 것처럼 ‘밖으로(ex) 향하는 존재'(istence)라는 의미를 보존하여 번역되어야만 한다. 자신을 부단히…
실재성(réalité, reality) → 잠재성/현실성/실재성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5.
신유학(新儒學) 중국 당(唐) 제국의 통치 이데올로기는 화엄종을 대표로 하는 불교 사유였다고 할 수 있다. 송(宋) 제국이 시작되면서 유학자들은 공자와 맹자의 유학 사상을 우주론적 규모로…
신(God) 서양의 사유 전통에는 세 종류의 신이 있었다. 첫째는 고대 그리스로부터 유래한 제작자로서의 신이었다. 제작자로서의 신은 법칙이나 질료를 만들지 못하고, 질료에 법칙을 부여함으로써 세계를…
시간(time)/공간(space) 동양의 사유 전통에서 시간과 공간은 하나의 통일된 장(場)으로 사유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우주(宇宙)라는 개념이 중요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우(宇)가 공간의 측면을 가리켰다면, 주(宙)는 시간의…
스토아학파(Stoicism) 전체 질서와 조화된 삶을 추구했던 헬레니즘 시대 철학 학파이다. 에피쿠로스학파와 함께 헬레니즘 시대를 양분했던 스토아학파는 우주가 인간의 힘으로 거부할 수 없는 필연적인 인과관계로…
숭고(the sublime) 칸트에게 있어 어떤 대상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려면 우리는 그 대상을 이론적이나 실천적인 관심이 아니라 무관심하게 볼 수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어떤 대상들은 폭력적으로…
수양(self-cultivation) 주체가 자신에게 주어진 주체 형식을 극복하고 새로운 주체 형식으로 거듭나려는 노력을 가리킨다. 서양의 경우 헬레니즘 시대의 스토아학파가 수양을 강조했다면, 동양의 경우 유교, 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