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jhey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철학vs철학1

신유학(新儒學)

By 0

신유학(新儒學) 중국 당(唐) 제국의 통치 이데올로기는 화엄종을 대표로 하는 불교 사유였다고 할 수 있다.…

철학vs철학1

신(God)

By 0

신(God) 서양의 사유 전통에는 세 종류의 신이 있었다. 첫째는 고대 그리스로부터 유래한 제작자로서의 신이었다.…

철학vs철학1

시간(time)/공간(space)

By 0

시간(time)/공간(space) 동양의 사유 전통에서 시간과 공간은 하나의 통일된 장(場)으로 사유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우주(宇宙)라는 개념이…

철학vs철학1

스토아학파(Stoicism)

By 0

스토아학파(Stoicism) 전체 질서와 조화된 삶을 추구했던 헬레니즘 시대 철학 학파이다. 에피쿠로스학파와 함께 헬레니즘 시대를…

철학vs철학1

숭고(the sublime)

By 0

숭고(the sublime) 칸트에게 있어 어떤 대상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려면 우리는 그 대상을 이론적이나 실천적인 관심이…

철학vs철학1

수양(self-cultivation)

By 0

수양(self-cultivation) 주체가 자신에게 주어진 주체 형식을 극복하고 새로운 주체 형식으로 거듭나려는 노력을 가리킨다. 서양의…

철학vs철학1

수리학(水理學, hydrography)

By 0

수리학(水理學, hydrography) 고대 중국의 제왕들은 자신의 능력을 치수(治水) 산업으로 증명해야만 한다. 치수는 기본적으로 하천의…

철학vs철학1

속성(accidens, attribute)

By 0

속성(accidens, attribute) 실체가 논의나 판단의 주어에 해당한다면 속성은 그것에 부여되는 술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철학vs철학1

소통(疏通)

By 0

소통(疏通)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어떤 공동체(community)로 타자를 편입시킨다는 의미를 가진다면, 반대로 소통은 타자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도모하기…

철학vs철학1

소인(小人)

By 0

소인(小人) → 대인/소인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4.

1 33 34 35 36 37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