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동액의 주요성분이 될 수 없는 것은?
① 그리스
② 글리세린
③ 메탄올
④ 에틸렌글리콜

 

 

 

2. 분사노즐의 요구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고온, 고압의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을 것
② 분무를 연소실의 구석구석까지 뿌려지게 할 것
③ 연료의 분사 끝에서 후적이 일어나게 할 것
④ 연료를 미세한 안개 모양으로 분사하여 쉽게 착화하게 할 것

 

 

 

3. 실린더 벽이 마멸되었을 때 발생 되는 현상은?
① 기관의 회전수가 증가한다.
② 오일의 소모량이 증가한다.
③ 열효율이 증가한다.    
④ 폭발압력이 증가한다.

 

 

 

4. 기관 과열의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라디에이터 코어의 막힘
② 냉각장치 내부의 물때 과다
③ 냉각수의 부족
④ 오일량 과다

 

 

 

5. 배기터빈 과급기에서 터빈축의 베어링에 급유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① 그리스로 윤활
② 기관오일로 급유
③ 오일리스베어링 사용
④ 기어오일을 급유

 

 

 

6. 점도지수가 큰 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변화는?
① 크다.   
② 작다.
③ 불변이다.   
④ 온도와 점도관계는 무관하다.

 

 

 

7. 디젤 기관에서 연료 라인에 공기가 혼입 되었을 때 현상으로 맞는 것은?
① 분사압력이 높아진다.   
② 디젤 노크가 일어난다.
③ 연료 분사량이 많아진다.
④ 기관 부조 현상이 발생된다.

 

 

 

8. 디젤 기관에서 흡입공기 압축 시 압축온도는 약 얼마인가?
① 200 ~ 300℃
② 500 ~ 550℃
③ 1500 ~ 2000℃
④ 900 ~ 950℃

 

 

 

9. 건설기계 정비에서 기관을 시동한 후 정상운전 가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운전자가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① 속도계
② 엔진 오일량
③ 냉각수 온도계
④ 오일 압력계

 

 

 

10. 기관을 점검하는 요소 중 디젤기관과 관계 없는 것은?
① 예열장치
② 점화장치
③ 연료장치
④ 압축장치

 

 

 

11. 노킹이 발생 되었을 때 디젤기관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① 기관의 rpm이 높아진다.
② 연소실 온도가 상승된다.
③ 엔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④ 출력이 저하된다.

 

 

 

12. 기관의 시동을 보조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① 실린더의 감압장치
② 히트레인저
③ 과급장치
④ 공기 예열장치

 

 

 

13. 건설기계에서 윈드시일드 와이퍼를 작동 시키는 형식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① 압축 공기식
②기계식
③ 진공식
④ 전기식

 

 

 

14. 다음 중 교류 발전기의 부품이 아닌 것은?
① 다이오드
② 슬립링
③ 스테이터 코일
④ 전류 조정기

 

 

 

15. 축전지의 자기방전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전해액에 포함된 불순물이 국부전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② 탈락한 극판 작용물질이 축전지 내부에 퇴적되기 때문에
③ 음극판의 작용물질이 황산과의 화학작용으로 황산납이 되기 때문에
④ 전해액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16. 축전지에 관한 설명에서 옮은 것은?
① 전해액이 자연 감소된 축전지의 경우 증류수를 보충하면 된다.
② 축전지의 방전에 계속되면 전압은 낮아지고 전해액의 비중은 높아지게 된다.
③ 축전지의 용량을 크게 하려면 별도의 축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면 된다.
④ 축전지를 보관할 때에는 되도록 방전 시키는 것이 좋다

 

 

 

17. 전류의 자기작용을 응용한 것은?
① 전구
② 축전지
③ 예열플러그
④ 발전기

 

 

 

18. 시동스위치를 시동(ST)위치로 했을 때 솔레노이드 스위치는 작동되나 기동 전동기는 작동되지 않은 원인과 관계 없는 것은?
① 축전지 방전
② 시동 스위치 불량
③ 엔진 내부 피스톤 고착
④ 기동전동기 브러시 손상

 

 

 

19. 듀브리스 타이어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펑크 수리가 간단하다.
② 못이 박혀도 공기가 잘 새지 않는다.
③ 고속 주행하여도 발열이 적다
④ 타이어 수명이 길다

 

 

 

20. 휠로더의 휠허브에 있는 유성기어 장치에서 유성기어가 핀과 용착 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은?
① 바퀴의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② 바퀴의 회전속도가 늦어진다.
③ 바퀴가 돌지 않는다.
④ 관계없다.

 

 

 

21. 지게차의 체인장력 조정법으로 틀린 것은?
① 좌우체인이 동시에 평행한가 확인한다.
② 포크를 지상에서 조금 올린 후 조정한다.
③ 손으로 체인을 눌러보아 양쪽이 다르면 조정 너트로 조정한다.
④ 조정 후 록크 너트를 풀어진다.

 

 

 

22.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건설기계에서 엔진은 회전하나 장비가 움직이지 않을 때 점검사항으로 옮지 않은 것은?
① 트랜스미션의 에어브리더 점검
② 트랜스미션의 오일량 점검
③ 변속레버(인히비트 스위치) 점검
④ 컨트롤밸브의 오일 압력 점검

 

 

 

23. 무한 궤도식 굴삭기의 동력 전달 계통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주행모터
② 최종 감속 기어
③ 유압펌프
④ 추진축

 

 

 

24. 수송식 변속기가 장착된 장비에서 클러치 페달에 유격을 두는 이유는?
① 클러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② 클러치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③ 엔진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④ 제동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25. 불도저를 정지할 때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엔진속도를 저속 공회전으로 한다.
② 변속기 선택레버를 중립으로 한다.
③ 삽날을 높이 든다.
④ 브레이크를 밟고 정지시킨다.

 

 

 

26. 하부 롤러, 링크 등 트랙부품이 조기 마모되는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일반 객토에서 작업을 하였을 대
② 트랙 장력 실린더에 그리스가 누유 될 때
③ 겨울철에 작업을 하였을 때
④ 트랙장력이 너무 팽팽했을 때

 

 

 

27. 건설기계검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신규등록검사
② 정기검사
③ 구조변경검사
④ 예비검사

 

 

 

28. 교통사고로 중상의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① 2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
② 1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
③ 3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
④ 4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

 

 

 

29. 시ㆍ도지사는 수시검사를 명령하고자 하는 때에는 수시검사를 받아야 할 날부터 며칠 이전에 건설기계 소유자에게 명령서를 교부하여야 하는가?
① 7일
② 10일
③ 15일
④ 1월

 

 

 

30. 차마의 통행방법으로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을 통행할 수 있는 경우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통행이 불편할 때
② 도로에 물이 고여 있어 불편할 때
③ 도로가 잡상인 등으로 혼잡할 때
④ 도로의 파손, 도로공사 또는 우측 부분을 통행 할 수 없을 때

 

 

 

31. 건설기계 조종 중 재산 피해를 일으켰을 때 피해금액 10만원마다 면허 효력정지 기간은 며칠인가?
① 1일
② 2일
③ 3일
④ 4일

 

 

 

32. 도로교통법상 안전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주의표지
② 규제표지
③ 안심표지
④ 보조표지

 

 

 

33. 도로교통법에 위반이 되는 것은?
① 밤에 교통이 빈번한 도로에서 전조등을 계속 하향했다.
② 낮에 어두운 터널 속을 통과할 때 전조등을 켰다
③ 소방용 방화 물통으로부터 6미터지점에 주차하였다
④ 노면이 얼어붙은 곳에서 최고 20/10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였다.

 

 

 

34. 다음 중 정차 및 주차가 금지되어 있지 않은 장소는?
① 횡단보도
② 교차로
③ 경사로의 정상부근
④ 건널목

 

 

 

35. 다음 중 건설기계 임시운행 사유가 아닌 것은?
① 확인검사를 받기 위하여 건설기계를 검사장소로 운행하는 경우
② 신규등록검사를 받기 위하여 건설기계를 검사장소로 운행하고자 할 때
③ 신개발 건설기계를 시험, 연구의 모적으로 운행하고자 할 때
④ 건설기계형식승인을 받고자 할 때

 

 

 

36. 건설기계사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서 신고하여야 하는가?
① 시ㆍ도지사
② 전문건설기계정비업자
③ 건설교통부장관
④ 건설기계폐기업자

 

 

 

37. 유압펌프의 흡입구에서 캐비테이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흡입구의 양정을 1m 이하로 한다.
② 흡입관의 굵기를 유압 본체의 연결구의 크기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③ 펌프의 운전속도를 규정 속도 이상으로 하지 않는다.
④ 하이드로릭 실린더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38. 다음 중 유압실린더의 내부 구성품이 아닌 것은?
① 피스톤
② 쿠션기구
③ 유압밴드
④ 실린더

 

 

 

39. 가변 용량형 유압펌프의 기호 표시는?

 

 

 

40. 밀폐된 액체의 일부에 힘을 가했을 때 맞는 것은?
① 모든 부분에 같게 작용한다.
② 모든 부분에 다르게 작용한다.
③ 홈 부분에만 세게 작용한다.
④ 돌출부에는 세게 작용한다.

 

 

 

41. 작업 중 유압펌프 유량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을 때 오일을 저압으로 탱크에 귀환시키는 회로는?
① 시퀸스회로
② 어큐뮬레이션회로
③ 블리드오프회로
④ 언로드회로

 

 

 

42. 다음 보기 항에서 유압계통에 사용되는 오일의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모두 맞는 것은?

ㄱ. 펌프 효율 저하
ㄴ. 실리더 및 컨트롤밸브 누출 현상
ㄷ. 계통(회로) 내의 압력저하
ㄹ. 기동시 저항 증가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ㄴ, ㄷ, ㄹ
④ ㄱ, ㄷ, ㄹ

 

 

 

43. 유압장치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최고압력을 제한하면 회로를 보호해주는 밸브는?
① 릴리프 밸브
② 체크 밸브
③ 제어 밸브
④ 로터리 밸브

 

 

 

44. 유량 제어 밸브가 아닌 것은?
① 속도제어 밸브
② 체크 밸브
③ 교축 밸브
④ 급속배기 밸브

 

 

 

45. 유압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은?
① 유압실린더
② 유압 피스톤 펌프
③ 유압 모터
④ 축압기

 

 

46. 유압장치에서 오일탱크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① 유면은 적정위치 “F”에 가깝게 유지하여 한다.
② 발생한 열을 발산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공기 및 이물질을 오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④ 탱크의 크기가 정지할 때 되돌아오는 오일량의 용량과 동일하게 한다.

 

 

 

47. 작업환경 개선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채광을 좋게 한다.
② 조명을 밝게 한다.
③ 신품의 부품으로 모두 교환한다.
④ 소음을 줄인다.

 

 

 

48. 작업장에서 수공구 재해예방 대책으로 잘못된 사항은?
① 결함이 없는 안전한 공구 사용
② 공구의 올바른 사용과 취급
③ 공구는 항상 오일을 바른 후 보관
④ 작업에 알맞은 공구 사용

 

 

 

49. 기동하고 있는 원동기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그 소화 작업으로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안전한 방법은?
① 원인분석을 하고, 모래를 뿌린다.
② 경찰에 신고한다.
③ 점화원을 차단한다.
④ 원동기를 가속하여 팬의 바람을 끈다.

 

 

 

50. 일반 작업환경에서 지켜야 할 안전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안전모를 착용한다.
② 해머는 반드시 장갑을 끼고 작업한다.
③ 주유시는 시동을 끈다.
④ 고압 전기에는 적색 표지판을 부착한다.

 

 

 

51. 렌치 작업시의 주위사항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너트보다 큰 치수를 사용한다.
② 너트에 렌치를 깊이 물린다.
③ 높거나 좁은 위치에서는 몸의 자세가 안정되게 하고 작업한다.
④ 렌치를 해머로 두드려서는 안 된다.

 

 

 

52. 작업시 보안경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장비 밑에서 정비 작업할 때
② 인체에 해로운 가스가 발생하는 작업장
③ 철분, 모래 등이 날리는 작업장
④ 전기용접 및 가스용접 작업장

 

 

 

53. 벨트를 풀리에 걸때는 어떤 상태에서 걸어야 하는가?
① 회전을 정지시킨
② 저속으로 회전할 때
③ 중속으로 회전할 때
④ 고속으로 회전할 때

 

 

 

54. 크레인으로 인양시 줄걸이 작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와이어로프 등은 크레인 혹을 편심시켜 걸어야 한다.
② 하물이 혹이 잘 걸렸는지 확인 후 작업한다.
③ 밑에 있는 물체를 인양할 때 위에 물체가 있는 상태로 행한다.
④ 매다는 각도는 60도 이상으로 크게 하여야 한다.

 

 

 

55. 사고의 직접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유전적인 요소
② 성격결함
③ 사회적 환경요인
④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

 

 

 

56. 안전관리상 건설 현장에 부착할 안전표지의 종류로 가장거리가 것은?
① 경고표시
② 금지표시
③ 안내표시
④ 구역표시

 

 

 

57. 한전에서 고압이상의 전선로에 대하여 안전거리를 규정하고 있다. 다음 중 154000V의 송전선로에 대한 안전거리로서 올바른 것은?
① 350cm
② 160cm
③ 75cm
④ 30cm

 

 

 

58. 도시가스 관련법상 공동주택 등외의 건축물 등에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정압기에서 가스사용자가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토지의 경계까지에 이르는 배관을 무엇 이라고 하는가?
① 본관
② 주관
③ 공급관
④ 내관

 

 

 

59. 도로에 굴착작업 중 케이블 표시시트가 발견되었을 때 조치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해당설비 관리자에게 연락 후 그 지시를 따른다.
② 케이블 표지시트를 걷어내고 계속 작업한다.
③ 시설관리자에게 연락하지 않고 조심해서 작업한다.
④ 케이블 표지시트는 전력케이블과는 무관하다.

 

 

 

60. 도시가스 배관을 공동주택의 부지 내에 매설시 규정심도는 몇 m이상인가?
① 0.6
② 0.8
③ 1
④ 1.2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