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안정화증권(Monetary Stabilization Bond)이란 통화유동성을 간접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증권을 말한다.

‘통안증권’이라고도 한다.

선진국의 경우 시중의 유동성을 간접적으로 조절하기 위하 공개시장조작의 대상 증권으로서 국채 및 정부보증채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공채의 발행 및 유통시장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공개시장조작과 유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국은행이 특별유통증권을 발행하는데 이것이 통화안정화증권이다.

즉, 한국은행은 통화공급의 수축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는
통화안정증권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통화안정증권을 발행할 수 있으며,
통화공급의 증가가 필요한 때에는 이를 환매하거나, 만기전에 상환할 수 있다.

금융사가 자금운용 목적으로 통안증권을 구입하면 해당 금액이 한국은행으로 유입되면서,
이 금액에 통화승수(본원통화 한 단위가 이의 몇 배에 달하는 통화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를 곱한 금액만큼 시중유동성이 줄어든다.

반면, 시중에 유동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한국은행이 ㄷ시 통안증권을 사들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게 된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