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의 독립이 이루어지면서 예하 부대의 개편도 이루어졌다. 이미 설치된 육군항공사관학교는 공군사관학교(空軍士官學校)로, 육군항공비행부대는 공군비행단(飛行團)으로, 육군항공기지부대는 항공기지사령부(航空基地司令部)로 개칭되었고, 여자항공교육대는 여자항공대(女子航空隊)로 개편되었다. 육군항공사령부의 의무처는 공군병원으로 개칭되었으며, 육군항공사령부 보급중대와 자동차중대가 통합되어 보급창이 신설되었다.

 

건국기 명명식: 국민이 헌납한 충남1호, 전매1호 등 T-6기 10대의 건국기 명명식이 여의도기지에서 거행되었다. (1950. 5. 14)

 

1949년 12월 17일에는 공군본부 청사를 서울 용산 소재의 국방부 별관 내에서 서울의 중구 회현동으로 이동하고, 비행부대의 증편에 따른 항공작전지원(航空作戰支援)과 유사시의 기동성 유지를 고려하여 수원․군산․광주․대구․제주 기지 등 총 7개의 기지를 관할하게 되었다.

정부수립 이후, 항공사령부는 여순 10․19사건의 작전경험과 북한의 공군력 증강을 감안하여 이승만 대통령에게 항공기의 필요성을 건의하였다. 이승만 대통령은 주한 미 대사관과 미 고문단에 군사원조를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1949년 12월 7일 군사고문단장은 무초 대사를 통해 미 공군이 한국에 있는 고문단에 2명의 조종교관과 8명의 전문기술자를 할당해줄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미국 내의 반응은 군사고문단측의 견해와 달랐다. 한국 정부는 국회, 언론기관을 비롯한 사회 각계각층의 호응을 받아 “우리의 비행기는 우리의 힘으로 구입하자”는 구호 아래 항공기 헌납운동(獻納運動)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였다. 정부는 모금한 3억 5천만원으로 캐나다 정부로부터 T-6 10대와 0.5˝ 기관총 20정, 실탄 5,000발, 1년 분 부속품 3만 달러 등 총 30만 달러에 상당하는 무기를 구입하였다.

 

T-6 훈련기(건국기): 건국 초기 1950년 5월 14일, 전 국민의 헌금으로 10대를 캐나다에서 도입한 2인승 훈련기로서 전술정찰, 대지공격 및 조종사 훈련용으로 사용하였으며, 1962년 12월 1일 퇴역하기까지 588명의 조종사를 양성한 역사적 항공기다.

 

모금으로 구입한 항공기에 대한 명명식이 1950년 5월 14일 여의도기지에서 이승만 대통령을 비롯한 내외 귀빈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거행되었다. 항공기의 명칭은 국가의 건설과 국민의 애국심을 상징하는 의미에서 건국기(建國機)로 명명(命名)하였다. 즉, 건국 제1호(교통 제1호), 건국 제2호(전남학도 제1호), 건국 제3호(전북 학도 제1호), 건국 제4호(전매 제1호), 건국 제5호(충남 제1호), 건국 제6호(체신 제1호), 건국 제7호(국민 제1호), 건국 제8호(농민 제1호), 건국 제9호 (전남 제1호), 건국 제10호(경북 제1호) 등이다.

이렇듯 1948년 4월 육군항공부대로 출발한 공군은 정부수립 이후 건국기를 도입하는 등 전력증강을 위해 노력하였다. 건국기(T-6)는 한국전쟁 당시 그나마 부족한 국군의 공군력을 메우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건국기는 전쟁 당시 대전기지 2대, 제주기지 2대, 대구 동촌기지 1대, 서울기지 1대씩 각각 배치되어 주로 한국지상군의 전선 정면 및 적 후방공격, 전투기에 대한 공격목표유도, 긴급한 작전연락, 지휘관 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또 정찰한 내용을 육군본부와 미 제5공군사령부에 보고하는 등 작전도 지원하였다. 전쟁 발발 당시 공군은 뒤늦게 창설되고, 또 미국의 공군전력 증강에 제한을 두는 등 정부의 예산부족으로 인해 북한 공군처럼 전투기나 전폭기를 갖추지 못했다. 그 당시 공군은 국민성금으로 구입한 L-4와 L-5 연락기 22대를 보유하고 있었고, 공군병력도 1,800여명으로 6․25전쟁을 맞이하게 되었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2개의 댓글

  1. Thank you, I’ve just been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his topic for ages and yours is the greatest I have discovered till now. But, what concerning the conclusion? Are you positive concerning the supply?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