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정치적 문제의 배후에는 인간의 본성이 도사리고 있다. 불행한 일이지만 정치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심리학을 이해해야 한다.

‘사람에 따라 국가도 다르다’,(《공화국》)
‘인간의 성격이 다르듯이 국가도 다르다. ……국가는 그 안에 사는 인간성으로 구성된다.'(《공화국》)

국가의 현상은 시만 현상의 반영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더 훌륭해지지 않는 한, 더 좋은 국가는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인간이 더 훌륭해지기까지는 어떠한 변화에 의해서도 본질적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얼마나 매력적인가! 그들은 언제나 무질서를 진찰하고 증대시키고 복잡하게 만들면서 다른 사람이 권한 엉터리 비방으로 무질서가 치료되리라고 상상하지만, 결코 치유되지는 않고 더 악화된다. ……그들이 입법에 손은 대고 개혁에 의해 인류의 부정직과 악당적 행동을 근절시킬 수 있다고 상상하는 것은 희극이 아닐까? 그들은 사실상 히드라(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구두사(九頭蛇)로 머리 하나를 자르면 그 자리에 새로 두 개가 생긴다)의 머리를 자르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공화국》)

잠시 정치철학이 다루어야 할 인간이라는 재료를 검토해 보자.

인간의 행동은 세 근원 즉 욕망 · 감정 지식으로부터 흘러 나온다고 플라톤은 말한다.

욕망 · 기호 · 충동 · 본능 이것이 하나이고, 감정 · 활기 · 야망 · 용기 이것이 하나이며, 지식 · 사상 · 지성 · 이성 이것이 하나이다.

욕망은 허리에 자리잡고 있다. 이것은 성적인 정력이 넘쳐 흐르는 공급원이다.

감정은 심장, 즉 피의 흐름과힘에 자리잡고 있다. 이것은 경험과 욕망의 유기적 공명(共鳴)이다.

지식은 머리에 자리잡고 있다. 이것은 욕망의 눈이며 영혼의 조종사가 될 수 있다.

어리한 모든 능력과 성질은 만인에게 갖추어져 있지만 그 정도는 다양하다. 어떤 사람은 욕망의 화신을 뿐이며, 물질적 추구와 투쟁에 여념이 없고 사치와 허영에 몸부림치며 가진 것이 아무리 많아도 안달을 하는, 불안하고 욕심 많은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은 산업을 지배하고 조종하는 사람들이다.

한편 감정과 용기의 덩어리 같은 사람들도 있다. 그들은 왜 싸우느냐 하는 것보다는 승리를 그 자체에 있어서, 그리고 그 자체를 위해서 존중한다. 그들은 욕심이 많다기 보다는 오히려 호전적이다. 그들은 소유보다는 힘을 자랑하고 시장보다는 싸움터를 좋아한다. 이들은 세계의 육해군(陸海軍)을 구성하는 사람들이다.

끝으로 명상과 이해를 즐기는 소수의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재산이나 승리가 아니라 지식을 갈망한다. 그들은 시장과 싸움터를 떠나 고요하고 투명하며 초연한 사색에 잠긴다. 그들의 의지는 불이라기보다는 빛이며, 그들의 안식터는 권력이 아니라 진리이다. 이들은 세상이 등용하지 않아서 비켜 서 있는 지자(智者)들이다.

한편 개인의 행위가 실효를 거두려면 욕망이, 비록 감정에 의해 따뜻해졌더라도 지식의 인도를 받아야 하는 것처럼 완전한 국가에서는 산업의 힘은 생산을 맡지만 통치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군사력은 방어를 맡지만 통치하지는 않을 것이며, 지식과 과학과 철학의 힘이 보호 · 육성되어 이 힘이 통치할 것이다. 지식에 의해 인도되지 않으면 인민은 난잡한 욕망처럼 무질서한 군중이 된다. 욕망은 지식의 계몽을 받아야 하는 것처럼 인민은 철학자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부에만 마음이 쏠려 있는 상인이 통치자가 될 때, 파멸이 온다.'(《공화국》)

혹은 장군이 군대를 이용하여 군사 독재를 확립할 때, 파멸이 온다. 생산자는 경베분야에서, 전사(戰士)는 싸움터에서 가장 잘 진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들은 공직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그들의 미숙한 손으로 꾸며진 정략은 정치를 침몰시킨다. 정치는 과학이며 기술인 것이다. 정치가가 되려면 정치를 위해서 살고 장기간에 걸쳐 준비를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오직 철인왕(哲人王)만이 국민을 지도할 자격을 갖고 있다.

‘철학자가 왕이 되거나 현재의 왕후들이 철학적 정신과 힘을 갖추게 되어서 지혜와 정치적 지도력이 동일인에게 합치될 때까지는 ……국가도 인류도 결코 재난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공화국》)

이것은 플라톤 사상의 아치 초석이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