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경비대총사령부는 최초 당시에는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였다가 조선국방경비대가 조선경비대로 바뀜에 따라 조선경비대사령부로 개칭되었다. 경비대총사령부에는 총사령관과 총참모장이 있고, 그 밑에 참모부가 있었다. 참모부로는 최초 고급부관실․인사과․정보과․작전과․보급조달과 등 과(課)로 출발하였다가, 1946년 후반기에 참모부의 기능이 확대되면서 각 과는 처(處)로 승격되었다. 당시 참모부로는 고급부관실 · 인사처 · 정보처 · 작전교육처 · 군수처가 개편되었다. 참모부는 다시 국(局)체제로 확대되면서 고급부관실 · 인사국 · 정보국 · 작전교육국 · 군수국으로 개편되었다.
조선경비대 총사령관 대리참령 원용덕
경비대 초대 사령관에는 1946년 2월 7일부로 마샬(John T. Marshall) 중령이 임명되었다. 이어 2월 22일 원용덕(元容德) 참령이 임명되었다. 제2대 사령관으로는 바로스(Russell O. Barros) 중령이 1946년 4월부로 임명되었다. 1946년 6월 15일에는 조선국방경비대가 조선경비대로 개칭되면서 조선경비대총사령관 대리로 이형근(李亨根) 참령이 1946년 9월 28일로 부임하였다가 1946년 12월 23일 송호성(宋虎聲) 중령으로 교체되었다. 아래 표는 조선국방경비대 및 조선경비대 총사령관의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역대 경비대 총사령관
이로써 초대 원용덕과 이형근 참령에 의한 총사령관 대리직 수행에 이어 제2대 총사령관으로 송호성 중령이 정식 취임하게 되었다. 이형근 참령은 조선경비대 총사령관 대리에서 조선경비대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 후 송호성 사령관은 경비대총사령부가 육군본부로 개칭되고 육군본부에 총참모장제가 시행되자, 그 직책을 초대 총참모장 이응준 장군에게 물러주고 그 자리를 떠나게 되었다. 송호성 사령관은 1948년 11월 20일까지 총사령관으로 재직하였다.
조선경비대 총사령관중령 송호성
경비대 총참모장에는 1947년 4월 8일 초대 김상겸(金相謙) 대령이 취임한 이래, 제2대에는 정일권 대령, 제3대는 이형근 대령이 그 직책을 수행하였다. 인사국(人事局)은 1946년 2월 9일 인사과로 시작하였는데, 과장은 김현수 참위였다. 1946년 9월 인사처로 개편되었고 처장에는 김종석 중령, 박진경 중령, 최영희 중령이 차례로 보직되었다. 1948년 8월 20일 국으로 개편되면서 전쟁 이전까지 국장에는 강영훈(姜英勳) 대령과 신상철(申尙澈) 대령이 차례로 보직되었다.
정보국(情報局)은 1946년 1월 14일 정보과로 시작하였는데 과장에는 미 육군의 가스 소령이었다. 1947년 6월 1일 통위부 정보국과 총사령부 정보과가 통합되어 정보처로 개편되어 처장에는 최홍희 소령이 보직되었다. 1948년 9월 15일 정보국으로 개편되면서 전쟁 이전까지 국장에는 백선엽 대령, 이용문(李龍文) 대령, 신상철 대령, 장도영(張都暎) 준장이 차례로 보직되었다.
작전교육국(作戰敎育局)은 1946년 1월 14일 남조선국방경비대 창설시 국방부사령부내에 작전교육국을 설치하였는데, 국장은 미군 장교가 맡았다. 1946년 2월 7일 국방부사령부의 작전교육국을 경비대총사령부 작전교육과로 이관하였고, 과장에 김종석 대위가 보직되었다. 1947년 2월 1일 작전교육처로 개편되면서 처장에는 김종갑(金鍾甲) 소령과 장창국(張昌國) 중령이 보직되었다. 1948년 12월 8일 작전교육국으로 개편되면서 전쟁 이전까지 국장에는 강문봉 대령과 장창국 대령이 차례로 보직되었다.
군수국(軍需局)은 1946년 1월 14일 경비대총사령부 내에 군수조달과를 설치하였고, 과장에는 양국진(楊國鎭) 정위가 임명되었다. 1946년 8월 1일 군수처로 개편되면서 처장에 유재흥 대위가 보직되었다. 1948년 5월 1일 군수국으로 개편되면서 전쟁 이전까지 국장에는 김동영 중령, 최홍희 중령, 양국진 대령이 차례로 보직되었다.
고급부관실(高級副官室)은 1946년 1월 14일 국방사령부내에 설치되었다가 1946년 2월 7일 경비대총사령부로 편입되었다. 전쟁이전까지 역대 고급부관에는 임선하(林善河) 참위, 황헌친(黃憲親) 대령, 최경만(崔慶萬) 대령이 차례로 보직되었다.
헌병감실(憲兵監室)은 1946년 3월 15일 남조선국방경비대총사령부 내에 군감대(軍監隊)를 설치하였고, 군감대장(軍監隊長)에는 이병주 소령이 보직되었다. 1947년 7월 20일 경비사관학교에 군기과를 설치하고 군기병을 양성하였는데 과장은 김종갑 소령이었다. 1947년 10월 30일 경비대사령부 내에 군기사령부를 설치하였고, 군기사령관에 김종갑 소령과 이형근 대령이 보직되었다. 1948년 3월 11일 통위부의 군기사령부를 조선경비대의 군기사령부에 통합하여 개편하였는데 사령관에는 최석(崔錫) 소령, 신상철 중령이 차례로 보직되었다. 1949년 3월 1일 군기사령부를 헌병사령부로 개칭하였고, 전쟁 이전까지 사령관에는 장흥(張興) 대령, 전봉덕 대령, 최영희 대령, 송요찬(宋堯讚) 대령이 차례로 보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