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성폭력의 본질과 양태에 대한 철학적 고찰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contemporary forms of sexual violence

장욱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철학
2005, vol., no.7, pp. 321-362 (42 pages)
G704-001490.2005..7.013
한국가톨릭철학회

 

1. 인간성 (humanity)
__1) 인간이란 무엇인가?
__2) 인간의 인격성
2. 인간의 성 (human sexuality)
__1) 역사적 고찰
__2) 신체적 차이와 심리적 차이
____① 신체적 특성
____② 심리적 특성
__3)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역사적 차이
__4) 사회학에서의 성과 젠더 (sexuality and gender)
3. 인간의 성적 욕구 (sexual desire)
__1) 인간의 성적 욕구의 특징
__2) 인간의 성적 욕구의 목적론
____① 성과 사랑의 이중적 내적 목적
____② 성적 결합의 충만함의 원인성
4. 성폭력 (sexual violence)
__1) 성차별화 (sexual discrimination)
__2) 성희롱 (sexual harassment)
__3) 성적 폭력행위와 강간 (sexual assaults and rape)
5. 성폭력에 대한 철학적 고찰
__1) 폭력행위 (act of violence)
__2) 성폭력행위 (act of sexual violence)
____① 성의 본질과 목적론에 위배되는 행위
____② 여자와 남자의 동일한 인간성에 위배되거나 그들의 고유한 특징들에 위배되는 행위
6. 한국사회의 성폭력의 심각성
__1) 성폭력의 현황
__2) 여성운동
7. 결론

 

 

초록

이 논문은 성폭력에 대한 철학적 연구로서 탐구대상을 포괄적이고 궁극적인 관점에서 다룬다. 이것을 위해 이 논문은 우선 폭력일반과 인간의 성과 젠더의 의미를 다각적으로 탐구하고 그것을 토대로 성폭력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인간의 성과 젠더의 여러 차원들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차원들의 의미분석에서 출발하여 성적 욕구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즉 성의 목적론을 드러내고 동시에 다양한 양태의 사랑과의 연관 속에서 성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그러한 성과 젠더에 대한 이해를 지평으로 이 논문은 성폭력의 각기 다른 유형들인 성차별화, 성희롱과 엄밀한 의미의 성폭력 행위의 특징들을 드러낸다. 끝으로 우리 사회의 성폭력의 현황을 밝히고, 성폭력을 점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요인들과 방법들을 제기한다. 성과 젠더에 대한 이해에 있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일치와 유사성만을 강조하거나 차이성만을 강조하는 것은 극단적 입장들로서 온전한 이해가 될 수 없다. 그리고 성과 젠더를 자연적인 차이로, 즉 비역사적인 성으로만 이해하거나, 그와 반대로 사회 전통적 관습, 즉 젠더로만 이해하는 것은 일면적인 이해일 뿐이다. 결론적으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진정한 평등은 성과 젠더에 있어서의 그들의 공통점뿐 아니라 차이점에 대한 인정과 존중에 기초해야 한다. 우리사회의 성폭력은 우리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남성우월주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그러한 사상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sexual violence. As a philosophical refle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comprehensive and ultimate, or metaphysical, reflection on the subject. For that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human sexuality gender and also that of violence in general before treating the subject proper.Staring with the topic of human sexuality and gender in various aspects, such a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is study treats the teleological character of human sexual desire as well as its embodiment in different kinds of desire or love, such as simply sensual, romantic and conjugal loves. This study then attempts a philosophical evaluation of specifically different types of sexual violence under the headings of sexual discrimination, sexual harassment and act of sexual violence in the strict sense including rape. In the final chapter, this study briefly discusses the present – day situation of feminist movement in Korea. As closing remarks, this study unveils remote and proximate causes of sexual violence in general in Korea and suggests a number of ways to combat and to minimize it.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