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연구소를 세워 한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 한글 연구(주시경, 지석영)
• 순종의 인산일 → 6.10만세운동
• 1926년 4월 순종(융희 황제)이 승하하자 천도교를 중심으로 하는 민족주의자들과 조선 공산당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자들은 인산일에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어 사회주의자들은 큰 타격을 받았지만, 시위 당일인 6월 10일에 학생들이 격문을 뿌리고 시위를 주도적으로 전개하였다
• 대구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국채보상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 3.1운동
• 6.10만세운동의 준비과정에서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이 협력하면서, 신간회 결성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실시하는 배경이 되었다 → 3.1운동
• 신간회 중앙 본부가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여 지원하였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만세 시위, 융희 황제의 안신일, 권오설, 학생들이 격문을 뿌리고 만세를 외침 → 6.10 만세운동
• 1929년 한일 학생 간 충돌을 계기로 광주에서 일어나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전남 광주로 통학하는 열차에서 일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회롱한 사건을 계기로 한,일 학생 사이에 충돌이 일어났다. 경찰과 교육 당국이 일본인 학생만 두둔하자 광주 등지의 학생들은 민족차별 중지와 식민지 교육 제도 철폐를 요구하며 궐기하였고, 전국 규모의 항일 투쟁으로 확대되었다
• 조선 형평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 형평 운동
•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추진되었다 → 6.10 만세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 3.1운동
• 국내에서 민족 유일당 운동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 6.10만세운동
• 신간회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고 민중 대회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일제 강점기 최대 규모 사회 단체, 정우회 선언 작성, 이상재의 회장 추대, 전국 지회 설립 → 신간회
• 평양에 자기 회사를 설립하였다 → 신민회
• 2.8 독립선언 선언서를 작성하여 발표하였다 → 조선 청년 독립단
• 제국신문을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힘썼다 → 이종일
•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잡지 어린이를 간행하였다 → 천도교 소년회
•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결합으로 걸립된 신간회는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진상조사단을 파견하였다
• 박차정, 신간회의 자매단체 → 근우회
• 1920년대부터 여러 여성 단체가 설립되었다. 1927년에는 신간회 결성에 자극을 받아 비타협적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여성 인사들이 근우회를 결성하였다. 근우회는 여성 계몽과 구습타파를 주장하였고, 전국을 순회하면서 강연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 상하이에서 대동단결 선언을 발표하였다 → 신규식 등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 보안회
• 여성 교육을 위해 배화 학당을 설립하였다 → 미국인 개신교 선교사인 캠벨
• 근우회는 ‘조선 여자의 공고한 단결 도모’, ‘조선 여자의 지위 향상’등을 내세워 활동하였다
• 어린이 등의 잡지를 발간하여 소년 운동을 주도하였다 → 천도교 소년회
• 을밀대 지붕 위에서 강주룡이 고공 농성을 벌임 → 1931년
• 강주룡은 1931년 평양의 고무 공장의 열악한 노동 환경과 임금 삭감 등에 항의 하며 노동운동을 전개하였다
• 조선 노동 총동맹과 조선 농밍 총동맹이 창립되었다 → 1927년
• 전국 단위의 조직인 조선 노동 공제회가 조직되었다 → 1920년
• 전시 징용 정책에 반대하여 동방 광산 광부들이 투쟁을 전개 → 1942년
• 회사 설립 시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회사령이 제정되었다 → 1910년
• 일본인 감독의 한국인 구타 사건을 계기로 원산 총파업이 일어났다 → 1929년
• 진주, 백정에 대한 권익 보호를 목적으로 전개 → 형평운동
• 1894년 갑오개혁으로 법적인 신분 제도는 페지되었으나 백정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나 차별은 여전하였다. 이에 백정들은 신분 차별과 멸시를 타파하고자 경상남도 진주에서 조선 형평사를 조직하여(1923) 형평 운동을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