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는 만주 지역 독립운동 세력의 재건을 막고자 만주 군벌과 미쓰야 협정을 체결하였다 → 1925년
• 백운평, 어랑촌, 고동하 등지에서 일본군과 싸움, 북로 군정서 → 청산리 전투(1920)
• 중국 호로군과 협력하여 진행하였다 → 한국 독립군의 쌍성보(1932), 사도하자(1925), 대전자령(1932) 전투
• 미국 전략 정보국(OSS)의 지원을 받았다 → 한국광복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 3.1운동
• 조국 광복회의 지원 아래 유격전을 전개되었다 → 보천보 전투(1937)
• 봉오동 전투 이후 전개된 청산리 전투에는 북로 군정서군 이외에 대한 독립군, 대한 국민군 등이 연합하였다
• 지린성에서 김원봉이 조직 → 의열단
• 의열단은 신채호가 작성한 조선 역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아 일제의 중요 기관을 파괴하고 주요 인물을 처단함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 보안회
• 복벽주의를 내세우며 의병전쟁을 준비하였다 → 독립 의군부
• 삼균주의를 기초로 하는 건국 강령을 발표 →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단원인 이봉창이 일왕의 행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한인 애국단
• 정작림과 일본과의 협정 → 미쓰야 협정(1925)
• 미쓰야 협정은 일제가 만주 지역의 독립군을 탄압하기 위하여 만주의 군벌인 정작림과 체결한 조약이다
• 일제가 제1차 상하이 사변을 일으켜 상하이를 점령하자(1932), 상하이를 떠날 수 밖에 없게 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
• 일본군의 보복으로 간도 참변이 발생 → 1920년
• 한국광복군이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 → 1945년
• 일본의 토지 침탈을 막고자 농광 회사가 설립되었다 → 1904년
• 삼균주의에 입각한 대한민국 건국 강령이 발표되었다 → 1941년
• 남만주, 영릉가 전투, 1930년대 한중 항일 연합 작전, 총사령 양세봉 → 조선 혁명군
• 조선 혁명군은 1933에 한중 항일 연합 작전으로 홍경성 전투에서 일본군에 승리하였다
• 호가장 전투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 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
• 대전자령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 한국 독립군
• 일본군의 공세를 피해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 만주 지역의 독립군 부대
•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흥경성 전투를 이끌었다 → 조선 혁명군
• 조선 의용대는 중국 관내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이다
• 한국 독립당,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 지청천
• 지청천 → 민족운동가 겸 군인으로, 1930년대 초반에는 만주에서 한국 독립군을 이끌고 썽성보, 대전자령 전투 증에서 크게 승리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예하 한국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총사령관을 역임하였다
• 동양 척식 주식 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나석주
• 대한 광복회를 조직하여 친일파를 처단하였다 → 박상진
• 대한 국민회군과 연합하여 봉오동 전투에서 승리 → 홍범도
• 민중의 직접 혁명을 주장하는 조선 혁명 선언을 집필 → 신채호
• 총사령관, 지청천, 충칭 → 한국광복군
• 영릉가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승리하였다 → 조선 혁명군
• 중국 팔로군에 편제되어 항일 ㅈ너선에 참여하였다 → 조선 의용군
• 한국광복군은 미국 전략 정보국(OSS)의 협조 하에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 중국 관내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이다 → 조선 의용권
• 간도 참변 이후 밀산에서 집결하여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 민주 지역의 독립군 부대
• 내 살림은 내 것으로, 조선 사람 조선 것 등의 표어 → 물산 장려 운동(1920~1932)
• 조선 노동 총동맹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 노동 운동
• 근우회의 주도로 여성의 권익을 옹호하였다 → 여성 운동
•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철폐를 목표로 하였다 → 형평 운동
• 서울에서 1922년에 자작회, 1923년에 토산 애용 부인회가 조직되어 물산 장려운동을 주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