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켰다는 점을 통해 을사의병(1905)임을 알 수 있다. 최익현은 을사늑약에 반발하여 전라도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신돌석은 을사의병 당시 최초의 평민 출신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 을미사변과 단발령 시행에 반발하여 일어났다는 점을 통해 을미의병(1895)에 관한 내용이다. 을미의병은 을미개혁(단발령)과 을미사변(명성 황후 시해 사건)이 원인이 되어 일어났으며 유인석과 이소응 등의 유생들이 주도하였다

• 13도 창의군이 결성된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쳤다는 점을 통해 정미의병(1907)임을 알 수 있다. 정미의병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13도 창의군(총대장 이인영, 군사장 허위)이 결성되었다. 13도 창의군은 서울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으나, 일본의 반격 등으로 인해 실패하였다

• 해산된 한국 군인들이 선봉이 된 의병이 일본 원정대를 몰살하였다는 내용 → 1907년에 전개된 정미의병

• 산림과 원야, 진황지를 50년 기한으로 일본인에게 빌려주는 일에 대하여 이야기한 점, 황무지를 일본인이 청구한다는 점 →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상황

• 105인 사건의 영향을 조사한다 → 신민회

• 보안회는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맞서 저지 운동을 펼쳤다

• 독립문이 건립된 과정 → 독립협회

• 조선 형평사의 설립 목적 → 형평운동(1923)

• 황국 중앙 총상회 → 시전 상인의 상권 수호 운동

• 대성학교, 안창호, 양기탁 → 신민회(1907)

• 신민회는 1907년에 안창호, 양기탁 등의 주도로 조직된 항이 비밀 결사이다. 다른 애국 계몽 운동 단체와는 다르게 실력 양성뿐만 아니라 무장 투장에도 중점을 두었다. 태극 서관과 자기 회사 등 민족 기업을 설립하였고,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에 힘썼으며, 만주에 신흥 무관 강습소(신흥무관학교로 발전)를 세워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 신민회는 민족 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태극 서관을 운영하였다

• 신민회는 일제가 조작한 105인사건을 계기로 와해되었다

• 이륭양행에 교통국을 설치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

• 입헌군주제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 → 독립 협회와 헌정 연구회(1905)

• 화폐정리사업 → 백동화를 제일 은행권으로 바꾸려고 한다는 점, 백동화를 곧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점

• 금속류 회수령이 공포되었다 → 1930년대 말 이후

• 국채 보상 운동 → 1907년

• 산미 증식 계획이 실시 → 1920~1934년, 1940년 이후

• 조선 물산 장려회가 조직 → 1920년(평양)

• 제1차 한일협약을 통해 재정 고문으로 조선에 온 메가타는 일본의 재정 장악력을 높이기 위해 화폐 정리 사업을 추진하였다

• 경인선은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로, 1896년 미국인 모스가 부설권을 얻고 공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모스가 본국으로부터의 자금 조달에 실패하며 공사 도중에 철도 부설권이 일본에게 넘어갔고, 1899년에 개통되었다. 경인선의 개통은 근대적 교통 기관의 도입과 함께 서구 열강과 일본이 본격적으로 한반도에 침투하게 되는 구체적 발판이 마련되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당현 금광 채굴권 → 독일은 1897년에 강원도 금성의 당현 금광 채굴권을 획득하였다

• 경부선 철도 부설권 → 일본은 1898년에 경부선 철도 부설권을 확보하였다

• 운산 금광 채굴권 → 미국은 1896년에 평북 운산 금광 채굴권을 차지하였다

• 울릉도 산림 채벌권 → 러시아는 1896년에 압록강, 두만강 유역과 울릉도에 대한 삼림 채벌권을 차지하였다

• 경인선 철도 부설권 → 경인선 철도 부설권은 미국이 확보하였다가 일본에게 넘어갔다

• 일제로부터 도입한 차관을 갚기 위해, 대구 → 국채 보상 운동(1907)

• 황국 중앙 총상회의 주도로 전개 → 시전 상인의 투쟁

•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에 반대 하였다 → 독립협회의 이권 수호 운동

• 조선총독부는 일제가 대한 제국을 강제 병합한 이후에 설치되었다

• 대한매일신보 등의 언론사는 당시 국민들에게 국채 보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독려하였다

• 일본, 프랑스 등의 노동 단체로부터 격려 전문을 받았다 → 원산 노동자 총파업(1929)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