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토현 전투에서 승리하다 → 1894년 4월

• 백산에 모여 4대 강령을 선포하다 → 1894년 3월

• 최시형이 동학의 2대 교주가 되다 → 1863년

• 교조 신원을 요구하는 삼례 집회가 열리다 → 1892년

• 고부관아의 창고를 털어, 전주성 입성, 손화중 → 전봉준

• 단발령 시행에 반발하여 의병을 일으키다 → 을미의병(1895)을 일으킨 유인석, 이소응 등

• 전봉준은 동학 농민 운동을 이끌며 우금치에서 일본구 및 관군에 맞서 싸웠다

• 동학의 2대 교주로 교조 신원 운동을 주도하였다 → 최시형

• 명동 성당 앞에서 이완용을 습격하여 중상을 입혔다 → 이재명

• 13도 창의군을 지휘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 → 이인영, 허위

• 개국 기년 사용, 과부의 재혼 허용, 노비제 폐지 → 제1차 갑오개혁(1894)

• 단발령 → 을미개혁(1895)

• 원수부는 광무개혁(1896) 때 고종이 황제의 군 통수권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한 군사 기구이다

• 군국기무처 폐지, 김홍집과 박영호가 주도하는 내각의 개혁 → 제2차 갑오개혁(1894)

• 통리기무아문과 12사를 설치 → 조선정부의 개화정책(1880)

• 제2차 갑오개혁을 통해 지방행정구역이 8도에서 23부로 개편되었다

• 청의 연호를 쓰지 않고 개국 기년을 사용하였다 → 제1차 갑오개혁(1894)

•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고 과부의 재가를 허용 → 제1차 갑오개혁(1894)

• 6조에서 8아문으로 개편하고 과거제를 폐지 → 제1차 갑오개혁(1894)

• 조,청 상민 수록 무역 장정을 체결 → 1882년

• 러시아, 프랑스, 독일의 압력, 랴오둥반도를 반환 → 삼국 간섭(1895)

• 일본이 청일전쟁에서 승리하고 청으로부터 랴오둥반도를 획득하였지만, 삼국 간섭으로 랴오둥반도를 반환하면서 러,일 간의 갈등이 본격화 되었다. 이에 민씨 정권이 친러 정책을 펼치자 일본은 을미사변(1895)을 일으켜 조선 정부를 장악하고 개혁을 강요하였다(을미개혁)

• 조선 정부는 1895년 을미개혁으로 단발령을 실시하고 ‘건양’이라는 연호는 사용하는 등의 개혁을 진행하였다

• 행정기구를 6조에서 8아문으로 개편하였다 → 제1차 갑오개혁(1894)

•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 제1차 갑오개혁(1894)

• 영국이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 거문도 사건(1885~1887)

• 1896년 → 왕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기게 되었다(아관파천)

• 1895년 → 국왕이 머리카락을 자르고, 이를 본받으라고 함(을미개혁)

• 1895년 → 일본이 왕후를 시해하였다(을미사변)

•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서재필은 미국에서 돌아와 1896년에 독립 신문을 창간하고 민중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같은 해에 개혁파 관료들과 독립 협회를 창립하였다. 이후 독립협회는 독립문을 걸설하고, 토론회와 강연회를 개최하여 민권 의식과 자주 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러시아의 이권 침탈에 반대하며 최초의 근대적 집회인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고, 의회 설립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 대성학교와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 신민회(1907)

• 고종 강제 퇴위 반대 운동을 주도하였다 → 대한 자강회(1906~1907)

•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 보안회(1904)

• 독립 협회는 박정양 내각과 협의하여 국왕 자문 기구인 중추원을 의회와 같은 형채오 개편하기로 하였다

• 일본에 진 빚을 갚자는 국채 보상 운동(1907~1908)을 전개 → 국채 보상 기성회

•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서재필은 미국에서 돌아와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이상재,남궁억 등과 함께 독립 협회를 창립하였다.(1896) 독립 협회는 독립문을 건설하고 독립신문을 간행하였으며, 토론회와 강연회를 개최하여 민권 의식과 자주 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러시아의 이권 침탈에 반대하며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고, 의회 설립 운동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 만세보를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앞장섰다 → 천도교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