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답 겸 쇄환사로 파견 → 임진왜란 이후 일본으로 파견
• 조선책략을 처음으로 소개 → 제2차 수신사로 파견된 김홍집
•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등이 참여 → 보빙사
• 개화 반대 여론으로 인해 비밀리에 출국 → 조사 사찰단
• 미국에 보빙사 파견 → 1883년
• 개화정책을 총괄하는 통리기무아문과 산하 기구인 12사를 신설 → 1880년
• 운요호가 강화도와 영종도를 무단 침입하였다 → 1875년
• 교원 양성을 위해 한성 사범 학교가 설립 → 1895년
•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하여 천주교 포교가 허용 → 1886년
• 김기수는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직후인 1876년에 제1차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다
•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 → 거문도 사건(1885~1887)
• 평양 관민이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웠다 →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
• 거중 조정 조항을 포함한 조약이 체결되었다 →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 양헌수 부대가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퇴 → 병인양요(1866)
• 김옥균, 박영효 등이 주도하였다 → 갑신정변(1884)
• 입헌 군주제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 → 독립 협회의 의회 설립 운동(1898)
• 강화도 조약(1876) 체결 이후 개화 정책 실시 결과 → 통리기무아문이 설치
• 구본신참(구본: 갑오개혁 이전 조선의 사상과 제도, 신참: 구본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서구의 새로운 사상과 제도)에 입각하여 개혁을 추진 → 광무개혁(1896)
• 갑신정변(1884)의 결과 조선과 일본 간에는 한성 조약(1884)이 체결되었고, 청과 일본 간에는 톈진 조약(1885)이 체결되었다. 톈진 조약을 통해 청과 일본은 조선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어느 한쪽이 군대를 보내면 그 사실을 상대측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 갑신정변(1884) 직후 조선은 일본과 배상금 지불 및 고사관 신축 비용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한성 조약(1884)을 체결하였다
• 신식 군대인 별기군이 창설되었다 → 1881년
• 부산 외 두 곳의 항구가 개항되었다 → 강화도 조약의 결과(1876)
• 김윤식이 청나라에 영선사로 파견되었다 → 1881년
• 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통리기무아문이 설치 → 1880년
• 청에 조공하는 허례를 폐지, 문벌 폐지, 개화당 → 갑신정변(1884)
•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일본 공사관을 공격, 도시 하층민도 가담 → 임오군란(1882)
• 영국이 러시아의 남진을 막는다는 구실로 섬을 점령하였다. 이후 영국은 청의 중재로 조선의 영토를 점령하지 않겠다는 러시아의 약속을 받자 1887년 거문도에서 철수 → 거문도 사건(1885~1887)
• 공주 우금치 전적이 제시, 남접과 북접 연합군이 관군, 일본 연합군과 전투 → 동학농민운동(1894)
• 이소응, 유인석 등이 주도 → 을미의병(1895)
• 동학 농민군은 제1차 봉기 당시 황룔촌 전투와 황토현 전투 등에서 승리하고 전주성을 점령하기도 하였다
• 한성 조약(1884)이 체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갑신정변(1884)
• 관민 공동회(1898)를 개최하여 헌의 6조를 결의 → 독립 협회(1896)
• 사건 수습을 위하여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 → 진주농민봉기(1862)
• 농민군이 백산에서 4대 강령을 발표 → 1894년 3월
• 우금치에서 농민군과 일본군이 격전을 별였다 → 1894년 11월
• 청군에 이어 조선에 상륙한 일본군은 조선정부의 철군요구를 거부하고 경복궁을 무력 점령하였다 → 1894년 6월
• 보은에서 교조 신원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 1893년
• 조병갑의 탐학에 저항에 고부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 1894년 1월
•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자 1894년 10월 농민군은 논산에 집결하여 북상하였으나, 공주 우금치에서 관군과 일본군 연합 부대에 패배하였다
1개의 댓글
Great website. Lots of useful info here. I am sending it to a few pals ans also sharing in delicious. And certainly, thanks to your sw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