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미양요(1871) 이후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워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널리 알렸다 → 흥성대원군

• 각 궁방과 중앙 관서의 공노비를 해방 → 조선 순조

• 도성을 방비하기 위하여 총용청을 설치 → 조선 인조

• 통치 체제를 정비하기 위하여 경국대전을 편찬 → 조선 성종

• 통리기무아문과 12사를 설치하였다 → 조선 고종

•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 → 대한제국 고종

• 나선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 → 조선 효종

•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교육입국 조서를 반포 → 조선 고종 친정시기

• 환곡의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사창제를 실시하여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고자 하였다 → 흥선대원군

• 병인양요(1866) → 양헌수, 정족산, 프랑스 선교사, 절두산

• 종로와 전국 각지에 척화비가 세워짐 → 신미양요(1871) 이후

•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병인양요(1868) 이후

• 위안스카이가 이끄는 군대가 조선에 상륙하였다 → 임오군란(1882) 이후

• 프랑스 군대는 병인박해(1866)를 구실로 군함을 끌고 강화도를 침략 → 병인양요(1866)

• 김홍집이 가지고 온 조선책략이 국내에 유포 → 제2차 수신사 복귀(1880)

• 서양 오랑캐가 광성진을 침범, 어재연 → 신미양요(1871)

• 신미양요(1871) → 미국은 제너럴셔먼호 사건(1866)을 빌미로 조선의 문호를 개방시키고자 로저스 제독이 이끄는 함대를 강화도에 파견하였다. 미군은 강화도에 상륙하여 초지진과 덕진진을 점령하고 광성보를 공격하였다. 우세한 전력을 가진 미군에 맞서 어재연이 이끄는 조선군이 결사항전을 하였지만 광성보는 끝내 점령되고 말았다. 하지만 조선은 항전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고 결국 미군은 퇴각하였다. 이후 흥선대원군은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워 통상수교 거부의 뜻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 조일 통상 장정(1883) → 조선의 관세권 설정, 방곡령 선포, 관세권을 일정 부분 회복, 일본에 최혜국 대우를 인정

• 갑신정변(1884)의 영향을 체결 → 한성 조약(1884)과 톈진 조약(1885)

• 조선은 일본과 조일통상장정(1883)을 체결하여 관세 부과와 방곡령 시행에 대한 규정을 명시

•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이 주둔하는 계기 → 제물포 조약(1882)

• 일본인 재정 고문을 두도록 하는 조항을 담고 있다 → 제1차 한일협약(1904)

• 부산 외 2개 항구를 개항한다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 강화도 조약(1876)

•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 미국, 세금을 거두는 권한 등을 통해 미국에 대한 낮은 세율의 관세 설정

• 조일통상장정(1883) → 방곡령(1884): 국내에 양식이 부족할 것을 우려하여 일시 쌀 수출 금지

• 조미 수토 통상 조약 → 최혜국 대우

• 갑신정변의 영향으로 체결 → 한성 조약과 톈진 조약

• 방곡령 시행에 대한 규정을 명시 → 조일 통상 장정(1883)

• 재정 고문을 두도록 하는 조항을 담고 있다 → 제1차 한일협약(1904)

• 운요호 사건 → 1875년

• 전국에 척화비가 건립 → 1871년

•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 1881년

•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 → 1882년

• 조선책략 → 김홍집이 1880년 일본에서 가져옴

• 김홍집, 조선책략 → 내용은 러시아를 막기 위해 미국과 연계해야한다는 것. 이 책의 유포 이후 청의 알선으로 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되었다

• 초대 주미 공사로 임명되어 미국에 파견 → 박정양

• 고종의 밀지를 받아 독립 의군부를 조직 → 임병찬

• 영국인 베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 → 양기탁

• 서유견문을 집필하여 서양 근대 문명을 소개하였다 → 유길준

• 영선사 파견을 계기로 근대식 무기 제조 공장 → 기기창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1개의 댓글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