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성전을 세워 성현에 제사를 지냈다 → 성균관과 향교

• 흥선 대원군에 의해 대부분 철폐 → 서원

• 1498년 → 김종직, 조의제문 등을 통해 여산군 때의 무오사화

• 1504년 → 갑자년, 어머니가 비명에 죽은 것, 등을 통해 연산군 때의 갑자사화

• 1519년 → 조광조, 그를 없앤 뒤에 보고하라 등을 통해 중종 때의 기묘사화

• 1545년 → 대윤, 소윤, 윤원형 등을 통해 명종 때의 을사사화

• 정암이라는 호, 소격서 폐지, 현량과 실시, 조광조를 가리키는 유허비 → 기묘사화

•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빌미가 되었다 → 무오사화 1591년

• 서인이 정권을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 인조반정 1623년

• 윤임 일파가 제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을사사화 1545년

• 상왕의 복위를 목적으로 성삼문 등이 일으켰다 → 단종복위운동 1455년

• 조광조의 급진적 개혁 정치와 반정 공신의 위훈 삭제 등에 훈구 세력이 반발하여 발생 → 기묘사화 1519년

• 반정 때 뚜렷한 공을 세우지 못한 사람은 삭훈해야 함을 주장하는 점을 통해 조광조가 중종에 위훈 삭제 건의(1519)

• 김효원과 심의겸의 두 당이 서로를 비난하다가 붕당이 나뉘었다 → 사림의 동인/서인 분화(1575)

• 윤임이 제거되고 사림이 축출되었다 → 1545년 을사사화

• 조의제문이 발단이 되어 김일손 등이 화를 입었다 → 1498년 무오사화

• 붕당의 폐해를 경게하기 위한 탕평비가 건립 → 영조 1742년

• 희빈 장씨의 소생의 원자 책봉 문제로 환국이 발생 → 1689년 기사환국

•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의 전말이 알려져 김굉필 등이 처형 → 1504년 갑자사화

•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인 이황은 성학집도, 주자서절요 등을 편창하여 주희(주자)의 이론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반영하여 독자적은 체계를 세우려고 하였다

•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학파를 형성 → 정제두

• 일본에 다녀와서 해동제국기를 편찬 → 신숙주

• 예안 향약을 시행하여 향촌 교화를 위해 노력 → 이황

• 유학 경전을 주자와 달리 해석한 사변록을 저술 → 박세당

• 가례집람을 저술하여 예학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정리 → 김장생

• 직전법 → 조선 세조가 과전을 없애고 만들었다

• 전지와 시지를 등급에 따라 지급 → 고려 전시과

•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 부담액을 고정 → 조선 영정법

•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의 수조권을 지급 → 조선 세조

• 관리에게 녹봉을 지급하고 수조권을 폐지 → 조선시대 직전법 폐지

• 개국 공신에게 인성, 공로를 기준으로 토지를 지급 → 고려 역분전

• 직전법의 폐단으로 시행, 수조권을 가진 관리가 과다하게 수취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 소재지의 관청에서 생산량을 조사하여 전세를 거둔 후 지급 → 관수관급제(조선 성종)

• 현량과를 통해 신진 사림이 등용 → 조선 중종

•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하여 반포 → 조선 성종

• 영창대군이 사사되고 인목대비가 유폐 → 조선 광해군

•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왕자의 난이 발생 → 조선 태조, 정종

•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한 탕평비가 건립 → 조선 영조

• 공법, 전품을 6등급, 풍흉을 9등급 → 조선 세종

• 공법은 토지를 비옥도와 그해 농사의 풍흉을 따져 차등 있게 부과한 제도

• 음악 이론 등을 집대성란 악학궤범이 완성 → 조선 성종

• 민간의 광산 개발을 허용하는 설점수세제가 시행 → 조선 효종

•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법을 정리한 농사직설을 편찬 → 조선 세종

•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는 직전법이 제정 → 조선 세조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