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적 문제의 발생

1) 무의식적 갈등의 형성
– 생후 5~6년의 심리성적 발달과정 동안 경험한 갈등들이 무의식으로 억압된다
– 영유아기의 자아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강렬한 본능적인 욕구에 대처해야 한다
– 무의식적 갈등은 억압된 이후로 해결된 적이 없기 때문에 개인에게는 항상 존재하는 주관적 현실임 현재 생활서 느끼는 압박감이나 경험하는 갈등이 무의식적 갈등과 일치할 때 심리적 퇴행이 일어나 과거의 갈등이 되살아 남
– 무의식적 갈등은 내담자에게 위험을 느끼게 하는 불안의 근원으로 작용함
– 불안의 원천: 의존했던 대상의 상실(구강기), 의존했던 대상으로부터의 사랑의 상실(항문기), 거세 불안(남근기), 초자아에 대한 두려움(잠재기 이후)

2) 심리적 증상의 발생
– 불안은 무의식적 갈등에 의한 위험을 자아에게 미리 알려주는 신호이다
– 자아가 받아들일 수 없는 무의식적 갈등이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방어기제를 동원하여 불안을 완화시키거나 회피한다
– 방어기제를 통해서도 해결할 수 없이 큰 불안으로 느껴질 때, 자아를 보호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심리적
증상을 발생시킴

 

• 심리적증상은내담자를고통스럽게하는데어떻게 자아를보호하는수단이되는가?
– 무의식적 갈등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 보다는 심리적 증상이 주는 고통이 더 약함
– 심리적 증상은 다른 사람에게는 비합리적으로 보이더라도 의식 수준으로 떠오르려는 무의식적 갈등을 막기위해 내담자 스스로가 찾아낸 최선의 해결책이다
– 증상을 통해 무의식적 갈등이 일부 드러나더라도 완전히 표면화되지 못하도록 타협한 결과
– 증상을 일으키는 갈등을 과거에는 경험했지만 억압했기 때문에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음을 의식하지 못한 결과

 

 

About Author

2개의 댓글

  1. Great post. I was checking continuously this blog and I’m impressed! Very helpful info specially the last part 🙂 I care for such information much. I was looking for this certain info for a very long time. Thank you and best of luck.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