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이란 임신부터 사망 사이에 일어나는 일련의 체계적인 변화, 변화는 연령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 상승적 감퇴적 변화 모두 포함한다. 변화는 전 생애 걸쳐서 일어나며 신체변화, 성격, 사고방식, 감정, 행동 , 대인관계 ,역할 등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발달심리학이며, 발달심리학은 일생 동안의 전 생애 발달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 발달연구 초기에는 임신부터 아동기 혹은 청년까지의 변화와 발달에만 관심이 있다. 평균 수명의 증가로 성인인구 증가하고 청년기 이후에도 중요한 변화들이 일어난다는 인식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성인발달과 노화에 관한 연구 활발이 일어나고 있으며,  발테스(Baltes; 1939-2006) 는 인간의 발달은 전 생애적 조망에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최초로 주장한 학자이다.

 

발테스가 제안한 발달연구의 5가지 전제

① 발달은 임신에서 부터 노년기까지 매 단계에서 일어난다
② 발달은 역사적 맥락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ex) 미국 대공황 시대의 아동과 현재 디지털 시대의 아동
③ 발달은 전 생애를 통해서 체계적 획득과 상실로 경험된다
④ 발달은 생물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등 여러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 짐
⑤ 어느 한 시기의 발달은 전생에의 맥락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음

 

발달의 기본문제

① 선과 악의 문제
· 선천적으로 이기적이고 악한 존재 –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 선하고 옳고 그름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가진 존재 – 루소(Rousseau)
· 인간은 백지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오로지 경험에 의해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 결정 – 로크(Locke)

② 천성과 양육의 문제
· 천성을 주장하는 학자는 발달을 개인의 유전자에 의한 보편적인 성숙과정, 생물학적 영향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 양육을 주장하는 학자는 발달의 환경적 영향을 강조한다

③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문제
· 연속성 이론가 : 발달은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고 새로운 능력이나 기술이 점차적으로 덧붙여진다고 설명, 발달적 변화는 본질적으로 양적 변화라고 주장한다
· 불연속성 이론가 : 발달은 특정시기, 특정기간에 불연듯 나타나거나 촉발되는 것이라고 설명, 발달적 변화는 본질적으로 질적 변화라고 주장한다.

 

 

About Author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