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전쟁의 배경과 원인

 

제1장 광복과 한반도의 분단

__제1절 광복과 미·소 군정
____1.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38도선 확장
______1) 일본의 침략과 한민족의 독립운동
______2) 전후(戰後) 처리를 위한 국제회담과 한국문제
______3) 북위 38도선에 의한 분단
____2. 소련의 북한 군정
______1) 소련군의 북한 진주
______2) 북한에서의 소련 군정
____3. 미국의 남한 군정
______1) 미군의 남한 진주
__ㅍ__2) 남한에서의 미군의 군정

__제2절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
____1. 미·소공동위원회 개최와 미·소 대립
____2.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

__제3절 남한 정부 수립
____1. 광복 직후 한국사회
____2. 정치세력의 분열
______1) 정치세력의 분열과 정당 통합운동 좌절
______2)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의 실패
____3. 남한 정부수립
______1) 정부 수립과 유엔의 승인
______2) 정부수립 후 국내정세
________(1) 정치·사회 정세
________(2) 경제 정세

__제4절 북한 정권 수립
____1. 초기 공산주의 세력의 성장
____2. 김일성의 등장과 인민위원회
____3. 공산정권의 수립

 

 

제2장 미·소·중의 한반도 군사정책과 전략

__제1절 미국의 한반도 군사정책과 전략
____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군사정책과 전략
______1) 전시 동원체제 해제와 안보체제 개편
________(1) 동원제체 해제와 군사력 감축
________(2) 국가 안보체제 개편과 통수체계
______2) 소련에 대한 봉쇄정책과 핵무기 의존 전략
________(1) 소련의 팽창과 봉쇄정책 수립
________(2) 핵무기 의존전략
____2. 미국의 극동전략과 군사력 현황
______1) 도서방위전략과 극동방위선
______2) 극동사령부와 군사력 현황
____3. 미국의 한국에 대한 전략적 평가와 철수정책
______1) 미국 합동참모본부의 평가와 웨드마이어 사절단의 보고서
________(1) 미국 합동참모본부의 한국에 대한 전략적 평가
________(2) 웨드마이어 사절단의 보고서
______2) 미국의 주한미군 철수정책
____4. 미국의 한국에 대한 군사목표와 지원
______1) 미국의 한국군 육성 목표
______2) 주한미군사고문단 설치
______3) 미국의 대한 군사원조

__제2절 소련의 한반도 군사정책과 전략
____
1. 소련의 정세
____2. 군비감축에서 재무정책으로의 전환
______1) 군비감축 정책
______2) 재무장 정책
____3. 소련군의 개편
______1) 지휘부의 개편
______2) 군의 재편성
____4. 소련의 북한 점령정책과 군사전략
______1) 북한 점령정책
________(1) 소련군의 북한점령
________(2) 북한 점령정책
______2) 북한군 증강계획
________(1) 소련군 철수
________(2) 한반도 군사전략

__제3절 중공의 한반도 군사정책과 전략
____1. 중국 정세와 중공의 동북아 전략
______1) 내전과 중공정권의 수립
______2) 중공의 동북아 전략과 한반도 인식
____2. 중공과 북한과의 군사관계
______1) 군사교류와 조선의용군 입북 경위
______2) 북한의 남침 계획 지지

 

 

제3장 북한군의 창설

__제1절 광복 직후의 무장세력
____1. 치안대와 적위대
____2. 보안대와 철도보안대

__제2절 간부양성기관
____1. 평양학원
____2. 북조선중앙보안간부학교

__제3절 군 창설 준비
____1. 보안간부훈련대대부 설치
____2. 인민집단군으로 개편

__제4절 군 창설과 확장
____1. 내무성 경비대
____2. 조선인민군
______1) 육군의 확장
______2) 병과별 부대 창설
______3) 조선의용군 사단의 입북 재편
______4) 민청훈련소의 사단 편성
______5) 전차부대의 창설과 확장
______6) 해·공군의 창설과 확장
________(1) 해·공군의 창설
________(2) 해·공군의 확장
____3. 민족보위성

 

 

제4장 국군의 창설

제1절 광복 이후 건국 활동
__1. 자생적인 군사단체
____1) 조선임시군사위원회
____2) 조선학병동맹
____3) 학병단
____4) 조선국군준비대
____5) 한국장교단군사주비회
____6) 대한민국 군사후원회
____7) 해사대
____8) 한국항공건설협회
__2. 군사학교
____1) 대한무관학교
____2) 조선국군학교(중앙육군사관학교)
____3) 육군사관예비학교

제2절 간부양성기관
__1. 군사영어학교(MLS)
__2. 조선경비사관학교
__3. 해군병학교
__4. 육군항공사관학교

제3절 미 군정기 경비대 창설 [본문]
__1. 통위부(統衛部)
__2. 조선경비대
____1) 국방군 창설 계획안과 뱀부(Bamboo)계획
____2) 조선경비대 창설과 편성
____3)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설치
__3. 해안경비대
__4. 항공부대

제4절 건군과 발전
__1. 국방부
____1) 국방관계 법령 제정
____2) 국방조직의 편성과 국방부 본부
____3) 국방 목표와 방향
__2. 육군
____1) 육군본부 설치
____2) 육군 부대 증편
____3) 육군 교육훈련
__3. 해군
____1) 해군본부 설치
____2) 해군 부대 증편
____3) 해군 교육훈련
__4. 공군
____1) 공군본부 설치
____2) 공군 부대 증편
__5. 해병대
__6. 호국군과 청년방위대
____1) 호국군의 창설과 편성
____2) 청년방위대의 설치와 편성

 

 

제5장 군내 좌익사건과 북한의 도발

제1절 미 군정기 군내 좌익사건
__1. 남로당의 군내 침투
__2. 국내 좌익세력의 활동
____1) 제1연대 제1대대 소요사건
____2) 경비사관학교 생도대장 폭행사건
____3) 제2연대 부정사건
____4) 영암 군경 충돌사건
__3. 제주 4 · 3사건
____1) 사건의 배경
______(1) 광복 후 제주도의 정치 · 경제 · 사회 · 상황
______(2) 제주도 좌익세력의 활동과 경찰의 대응
____2) 4 · 3사건의 발생과 초기 경찰 및 군의 대응
____3) 군의 단계별 진압작전
______(1) 제11연대의 작전(1948. 5. 15~7. 23)
______(2) 제9연대의 재편성과 토벌작전(1948. 7. 23~12. 29)
______(3) 제2연대의 토벌작전(1948. 12.29~1949. 2. 28)
______(4) 제주도지구전투사령부 작전(1949. 3.2~5.15)

제2절 정부수립 이후 군내 좌익사건
__1. 여순 10 · 19사건
____1) 사건의 발생
____2) 반란군의 여수 · 순천 점령
____3) 국군의 여 · 순지구 탈환작전
____4) 국군의 호남 · 지리산지구 토벌작전
__2. 제6연대내 반란사건
____1) 제1차 반란사건(1948. 11. 2)
____2) 제2차 반란사건(1948. 12. 6)
____3) 제3차 반란사건(1949. 1. 30)
__3. 숙군(肅軍)과 군의 재정비
____1) 숙군의 배경
____2) 숙군의 전개과정
____3) 숙군의 결과

제3절 북한 유격대의 남파와 국군의 토벌작전
__1. 남로당의 유격투쟁 목표
__2. 유격대의 조직
__3. 유격대 남파와 토벌작전

제4절 38도선상의 국지 도발
__1. 38도선 경비 상황
__2. 개성–옹진지구
____1) 개성지구
____2) 옹진지구
__3. 강릉지구
__4. 의정부–춘천지구
____1) 의정부지구
____2) 춘천지구

 

 

제6장 북한의 남침준비

제1절 북한·소련·중공의 군사회담
__1. 전략회담과 군사지원
____1) 북 · 중 · 소 군사대표자 회의
____2) 북 · 중 · 소 비밀 군사회담
__2. 북 · 소 · 중 비밀회담과 전쟁 결정

제2절 전시동원체제로의 전환
__1. 인력 동원
__2. 물자 동원

제3절 위장 평화공세와 전쟁계획
__1. 북한군의 군사훈련과 남침회의
____1) 북한군의 군사훈련
____2) 남침회의
__2.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결성과 위장평화공세
____1)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결성
____2) 전쟁은폐를 위한 위장평화 제안
____3) 국제적 위장평화공세
______(1) 소련과 북한의 위장평화공세
______(2) 일본 공산당의 동향
__3. 전시 편성과 남침 작전계획
____1) 북한군의 전시 편성
____2) 남침 작전계획
______(1) 남침의 기본전략
______(2) 선제타격작전계획

제4절 전투배치와 전투명령 하달
__1. 지휘체제
__2. 전투 배치
__3. 전투명령의 하달

 

 

제7장 국군의 방어태세

제1절 국방체제와 운용
__1. 국군의 지휘체계
__2. 국방조직의 개편과 운용

제2절 국군의 방어계획
__1. 기본 계획
__2. 전방부대 잔전 계획
__3. 후방부대 작전계획
__4. 방어계획 평가

제3절 부대배치와 준비태세 [본문]
__1. 전방 방어부대의 배치와 임무
____1) 육군본부 직할 독립 제17연대
____2) 제1보병사단
____3) 제7보병사단
____4) 제6보병사단
____5) 제8보병사단
____6) 전방 방어진지 구축 실태
__2. 후방 예비부대
__3. 병력 · 장비 · 교육훈련
__4. 전쟁 직전 대비태세
____1) 주요 지휘관 및 참모 인사
____2) 전쟁직전의 대북 정보
____3) 5 · 6월의 비상경계령과 해제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