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계소화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① 스프링클러설비
② 분말소화설비
③ 이산화탄소소화설비
④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2. 화재안전기준(NFSC)상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옥내소화전 방수구는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 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      )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① 10 m
② 20 m
③ 25 m
④ 35 m

 

 

 

3.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 차측 배관에는 물이 채워져 있다.
② 2차측 배관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다.
③ 2 차측 배관은 동결 우려가 없다.
④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한다.

 

 

 

4. 화재안전기준(NFSC)상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한다.
②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③ 직사광선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④ 온도가 60℃이하이고, 온도변화가 큰 곳에 설치한다.

 

 

 

5. 화재안전기준(NFSC)상 비상벨설비 음향장치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 m 떨어진 위치에서 몇 데시벨(dB)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30
② 50
③ 70
④ 90

 

 

 

6. 화재안전기준(NFSC)상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높이는 바닥으로 부터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건축물의 천장높이는 3m이다.)
① 1 m 이하
② 1.5 m이하
③ 2 m 이상 2.5 m 이하
④ 2.6 m이상 3 m 이하

 

 

 

7. 소방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거주자에게 실시하도록 하는 소방훈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피난훈련
② 소화훈련
③ 통보훈련
④ 구조ㆍ구급훈련

 

 

 

8. 화재안전기준(NFSC)상 비상경보설비가 아닌 것은?
① 비상벨설비
② 무선통신보조설비
③ 자동식사이렌설비
④ 단독경보형감지기

 

 

 

9. 화재안전기준(NFSC)상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          )이상일 것, 단, 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          ) 이상일 것.

① 1W, 3 W
② 3W, 1W
③ 5W, 2W
④ 2W, 5W

 

 

 

10.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조대의 길이는 피난상 지장이 없어야 한다.
② 미끄럼대는 안전한 강하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③ 완강기는 강하시 로프가 소방대상물과 접촉하여 손상되지 않게 한다.
④ 피난로프의 길이는 부착 위치에서 착지면 위 150 cm이내로 한다.

 

 

 

11.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구유도등의 설치높이는 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몇 미터(m) 이상인가?
① 0.8
② 1.0
③ 1.3
④ 1.5

 

 

 

12.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사다리를 설치하는 경우 금속성 고정사다리는 최소 몇 층부터 설치해야 하는가? (단,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는 제외한다.)
① 3
② 4
③ 5
④ 6

 

 

 

13. 소방법령상 화재경계지구 지정대상이 아닌 것은? (단,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별도로 지정한 지역은 제외한다.)
① 시장지역
②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③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④ 소방출동로가 확보된 지역

 

 

 

14. 소방법령상 불을 사용하는 설비의 관리와 화재예방을 위하여 지켜야 하는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용접 또는 용단 작업자로부터 반경 (          )이내에 소화기를 갖추어 둘 것

① 5 m
② 10 m
③ 15 m
④ 20 m

 

 

 

15. 소방법령상 화재발생 시 관계인의 조치의무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대피유도
② 소방로 확보
③ 소화활동
④ 경보발령

 

 

 

16. 소화방법에 따른 제어대상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냉각소화 → ( ㄱ )
• 질식소화 → ( ㄴ )
• 제거소화 → ( 가연물 )

① ㄱ: 열, ㄴ: 산소
② ㄱ: 산소, ㄴ: 열
③ ㄱ: 연쇄반응, ㄴ: 열
④ ㄱ: 산소, ㄴ: 산소

 

 

 

17.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효과는?
① 피복효과
② 냉각효과
③ 질식효과
④ 제거효과

 

 

 

18. 할론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기전도성이 매우 낮다.
②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의 위험은 이산화탄소에 비하여 낮다.
③ 밀폐된 실에서 방출할 때 압력상승 우려가 이산화탄소에 비하여 매우 높다.
④ 부촉매효과에 의한 억제소화가 이루어진다.

 

 

 

19. 물 소화약제의 소화작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식작용
② 냉각작용
③ 타격 및 파괴작용
④ 억제작용

 

 

 

20. 소화약제에 의한 2 차 오염피해가 적어 박물관, 정밀기기실, 도서관과 같은 장소에 적합한 소화약제는?
①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
② 분말소화약제
③ 포소화약제
④ 강화액 소화약제

 

 

 

21. 구획실 화재에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일오버 (boil over)
② 롤오버(roll over)
③ 백드래프트 (back draft)
④ 플래시오버(flash over)

 

 

 

22. 화재의 분류와 가연성물질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일반화재 – A급 -목재
② 일반화재- B급 -섬유
③ 유류화재 – A급 -휘발유
④ 유류화재- B급 -플라스틱

 

 

 

23. 건축물의 피난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난설비는 이동식을 원칙으로 한다.
② 피난경로는 단순 명료하게 한다.
③ 피난수단은 간단한 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④ 피난동선은 두 방향 이상 확보한다.

 

 

 

24.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계단은 내화구조로 한다.
②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7 m이상으로 한다.
③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한다.
④ 계단은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한다.

 

 

 

25. 방화구획의 벽을 닥트(duct)가 관통하는 경우에 닥트와 연결 설치되어 다른 방화구획으로 화염이나 연기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① 방화벽
② 방화문
③ 방화댐퍼
④ 방화셔터

 

 

 

26. 정전기 제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접지를 한다.
② 공기를 이온화한다.
③ 전기 부도체를 이용한다.
④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높인다.

 

 

 

27.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에 대한 정의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위험물”이라 함은 (         )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          )이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① 인화성 또는 가연성, 안전행정부령
② 인화성 또는 발화성, 안전행정부령
③ 인화성 또는 가연성, 대통령령
④ 인화성 또는 발화성, 대통령령

 

 

 

2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 제1석유류의 인화점 기준은?
① -20℃ 이하
② 21℃ 미만
③ 21 ℃이상 70 ℃미만
④ 70℃ 이상 200℃ 미만

 

 

 

2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의 게시판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게시판은 한변의 길이가 0.3m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가 0.6m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할 것
② 게시판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적색으로 할 것
③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유별, 품명 및 저장 취급 수량 등을 기재할 것
④ 안전관리자의 성명 및 직명을 기재할 것

 

 

 

3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는?

유수검지장치의 1 차측 및 2 차측의 배관 내에 가압수가 채워져 있으며 동파의 우려가 있어 부동액 주입, 보온조치 등의 방지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① 습식
② 건식
③ 준비작동식
④ 일제살수식

 

 

 

31. 가연물의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산소와 결합 시 발열량이 적을 것
ㄴ. 연소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적을 것
ㄷ. 산화되기 쉬울 것
ㄹ. 열전도가 클 것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32. 가연물과 연소형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석탄 – 분해연소
② 가솔린- 표면연소
③ 고급파라핀 – 증발연소
④ 액화천연가스(LNG) -확산연소

 

 

 

33. 플래시 오버(flash ove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건축물의 총 높이
② 실의 넓이
③ 가연물의 양
④ 개구부의 면적

 

 

 

34.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 물질은?

나일론과 멜레민수지의 연소 시 발생하는 독성가스이며, 주로 냉동시설의 냉매로 사용된다.

① 황화수소
② 암모니아
③ 염화수소
④ 시안화수소

 

 

 

35. 열의 특성 및 전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잠열은 물질의 상의 변화는 없고 온도의 변화만 있을 때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② 비열은 1g의 물체를 1℃ 만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③ 스테판-볼츠만(Stefan-Boltzmann) 법칙은 열복사와 관련된 법칙이다.
④ 열전달 형태는 전도, 대류 및 복사가 있다.

 

 

 

36. 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의 일반적인 수직이동속도 범위는?
① 0.5∼1 m/sec
② 2∼5 m/sec
③ 7∼10 m/sec
④ 11∼13 m/sec

 

 

 

3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화성 액체이다.
② 휘발유, 등유, 식용유 등이 있다.
③ 옥내소화전설비를 이용한 소화가 가능하다.
④ 누출된 증기는 대부분 공기보다 무거워 바닥에 체류한다.

 

 

 

3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 특수인화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이황화탄소
② 디에틸에테르
③ 아세톤
④ 아세트알데히드

 

 

 

39. 방화문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방화문은 갑종방화문 및 을종방화문으로 구분하며, 갑종방화문은 비차열 (          ) 이상, 을종방화문은 비차열 (          )이상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① 30분, 10분
② 40분, 15분
③ 50분, 20분
④ 60분, 30분

 

 

 

40. 특별피난계단이 설치된 건축물의 거실화재 시 제2차 안전구획에 해당하는 것은?
① 거실
② 복도
③ 계단전실
④ 계단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