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 무색, 무취이다. • 소화약제로 사용된다. • 다량 존재 시 질식의 위험이 있다. |
① 이산화탄소
② 황화수소
③ 아크롤레인
④ 포스겐
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의 품명에 해당하는 것은?
① 등유
② 철분
③ 질산
④ 칼륨
3. 분말소화약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소를 가압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② 오래된 분말은 수분을 흡수하여 굳을 수 있다.
③ 제1종 분말소화약제는 전기화재(C급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④ 제2종 분말소화약제는 일반화재(A급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4. 전기적 점화원이 아닌 것은?
① 정전기
② 단락(합선)
③ 단열압축
④ 과전류
5. 굴뚝효과(Stack Effect)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이 아닌 것은?
① 건축물 높이
② 건축물 무게
③ 건축물 외벽의 기밀도
④ 건축물 내ㆍ외부 온도차
6. 가연물이 자연발화를 일으키기 쉬운 조건이 아닌 것은?
① 표면적이 작을 것
② 주위온도가 높을 것
③ 발열량이 클 것
④ 열전도율이 작을 것
7. 위험물의 화재 시 소화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칼륨은 물을 사용하여 소화한다.
② 마그네슘은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사용한다.
③ 나트륨은 물을 사용하여 소화한다.
④ 휘발유는 포소화약제로 소화한다.
8. 건물화재에서 전자파의 형태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은?
① 전도
② 복사
③ 기화
④ 대류
9. 액화가스탱크의 외부에서 열이 가해져 탱크내의 액체가 비등하면서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용기가 파열되는 폭발 현상은?
① 롤오버(roll over)
② 백드래프트(back draft)
③ 블래비(BLEVE)
④ 제트화이어(jet fire)
10.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방법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제1류 위험물은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하여야 한다.
② 제2류 위험물은 화기와의 접촉을 피하여야 한다.
③ 제3류 위험물은 자기반응성물질이므로 물속에 저장한다.
④ 제4류 위험물은 화기를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11. 소화약제와 주된 소화효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물 – 냉각
② 포 – 질식
③ 분말 – 제거
④ 할론 – 부촉매
12. 화재안전기준(NFSC)상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의 색깔은?
① 적색
② 황색
③ 백색
④ 청색
13. 스프링클러헤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감열체
② 프레임
③ 반사판
④ 클래퍼
14. 화재안전기준(NFSC)상 청정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설치 장소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저장용기를 방호구역 외에 설치한 경우에는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② 온도가 70℃ 이하이고 온도의 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할 것
③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④ 용기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3 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15. 건물화재에서 구획실 전체가 순간적으로 화염에 휩싸이는 현상은?
① 화이어볼(fire ball)
② 슬롭오버(slop over)
③ 보일오버(boil over)
④ 플래쉬오버(flash over)
16.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기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피난교
② 간이완강기
③ 무선통신보조설비
④ 미끄럼
17. 화재안전기준(NFSC)상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는?
① 발신기
② 중계기
③ 감지기
④ 변류기
18. 다음은 화재안전기준(NFSC)상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어느 층에 있어서도 해당 층의 옥내소화전(5개 이상 설치 된 경우에는 5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 ㄱ )이상이고, 방수량이 ( ㄴ ) 이상이 되는 성능의 것으로 할 것 |
① ㄱ : 0.14 MPa, ㄴ : 80ℓ/min
② ㄱ: 0.15 MPa, ㄴ : 130ℓ/min
③ ㄱ : 0.16 MPa, ㄴ : 80ℓ/min
④ ㄱ: 0.17 MPa, ㄴ : 130ℓ/min
1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수신기
② 누전경보기
③ 감지기
④ 발신기
20. 화재안전기준(NFSC)상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 제외 장소가 아닌 것은?
① 통신기기실, 전자기기실
② 병원의 수술실, 응급처치실
③ 발전실, 변전실, 변압기
④ 현관 또는 로비 등으로서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5 m 인 장소
21. 지하 3층, 지상 10층, 연면적 6,000m2 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화재안전기준(NFSC)상 자동화재탐지설비 음향장치의 우선 경보가 동시에 발하지 않는 층은?
① 지상 1층
② 지하 1층
③ 지하 3층
④ 지상 2층
22. 화재안전기준(NFSC)상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분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5 m 이상 0.8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③ 기동장치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이산화탄소소화설비 기동장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④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23. 연기감지기에 해당되는 것은?
① 광전식감지기
② 차동식감지기
③ 정온식감지기
④ 보상식감지기
24. 화재안전기준(NFSC)상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어둠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
③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④ 건전지 및 충전식 밧데리의 용량은 10분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2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화활동설비가 아닌 것은?
① 비상콘센트설비
② 스프링클러설비
③ 제연설비
④ 연결송수관설비
26. 화재안전기준(NFSC)상 고층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해야 하는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
① 인명구조기구
② 제연설비
③ 비상조명등
④ 피뢰설비
27. 화재안전기준(NFSC)상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 설치높이 기준은?
①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 m 이하
②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 m 이상 1 m 이하
③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1 m 이상 1.5 m 이하
④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1.5 m 이상 2 m 이하
28. 화재안전기준(NFSC)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대형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 설치기준은? (단, 거리완화 및 지하구에 관한 단서 조항은 적용하지 않는다.)
① 30 m 이내
② 40 m 이내
③ 50 m 이내
④ 60 m 이내
29. 화재안전기준(NFSC)상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2W(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0.5W) 이상일 것
②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할 것
③ 조작부는 기동장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해당 기동장치가 작동한 층 또는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④ 다른 전기회로에 따라 유도장애가 생기지 아니하도록 할 것
30. 소방기본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가연물이 아닌 것은?
① 면화류 : 200 kg 이상
② 나무껍질 및 대팻밥: 400 kg 이상
③ 유황 : 100 kg 이상
④ 볏짚류: 1000 kg 이상
3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관리사무소 또는 방재센터 등과 긴급연락이 가능한 경보 및 통신시설을 설치할 것
②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③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 할 것
④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2.1 m 이상일 것
3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방화구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1 cm 미만인 것
②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 이상인 것
③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 cm 이상인 것
④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3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물분무등소화설비를 모두 고른 것은?
ㄱ. 포소화설비 ㄴ. 분말소화설비 ㄷ. 옥외소화전설비 ㄹ. 스프링클러설비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3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폭구조는?
전기기기의 발화원이 될 수 있는 부분을 기름 안에 넣어 불꽃, 아크 또는 고온발생부분이 기름 속에 잠기게 하여 기름면 위에 존재하는 가연성가스에 착화되지 아니하도록 한 구조 |
① 압력방폭구조
② 안전증방폭구조
③ 유입방폭구조
④ 본질안전방폭구조
35.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신호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대피신호
② 발화신호
③ 해제신호
④ 훈련신호
36. 상온에서 공기보다 가벼우며 액화천연가스(LNG)의 주성분인 것은?
① 부탄
② 메탄
③ 프로판
④ 이산화탄소
3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특별피난계단의 출입구 유효너비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0.6 m 이상
② 0.7 m 이상
③ 0.8 m 이상
④ 0.9 m 이상
38. 화재안전기준(NFSC)상 옥내소화전설비 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① 순환배관
② 성능시험배관
③ 물올림장치
④ 압력챔버
39. 화재안전기준(NFSC)상 다음에서 설명하는 유도등은?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거실, 주차장 등 개방된 통로에 설치하는 유도등 |
① 계단통로유도등
② 거실통로유도등
③ 복도통로유도등
④ 객석유도등
40. 화재안전기준(NFSC)상 옥내소화전 방수구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그 노즐에는 노즐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할 것
②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40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③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1.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④ 호스는 구경 40 m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mm)이상의 것으로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