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연성물질의 연소범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소농도가 증가할수록 연소범위가 넓어진다.
② 불활성가스를 첨가할수록 연소범위가 좁아진다.
③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위험성이 증가한다.
④ 연소범위 하한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감소한다.
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3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① 금속분
② 황화린
③ 황린
④ 철분
3. 연기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기농도가 증가할수록 감광계수는 커진다.
② 감광계수란 연기농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③ 일반적으로 감광계수가 커지면 가시거리가 길어진다.
④ 연기농도의 측정방법은 중량농도법, 입자농도법 등이 있다.
4. 증발연소가 주된 연소형태인 물질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휘발유 ㄴ. 유황 ㄷ. 숯 ㄹ. 마그네슘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5. 니트로셀룰로오스의 자연발화 시 주된 원인으로 옳은 것은?
① 유전열
② 흡착열
③ 분해열
④ 발효열
6. 금속칼륨의 보호액으로 옳은 것은?
① 물
② 등유
③ 아세톤
④ 에테르
7. 옥외탱크저장소의 유류화재 시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보일오버
② 슬롭오버
③ 오일오버
④ 훈소
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과 제6류 위험물의 공통성질은?
① 산화성
② 가연성
③ 금수성
④ 자기반응성
9.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 공기의 유동이나 유체의 흐름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 • 화재현장의 발화원 부근에서 온도가 증가하여 화재실 내부의 온도차 발생으로 열의 이동이 진행되는 현상 |
① 전도
② 대류
③ 비열
④ 잠열
1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에서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경우에 게시판에 표시하여야 하는 주의사항은?
① 화기엄금
② 화기주의
③ 물기엄금
④ 물기주의
11. 질소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며 청산가스라고도 불리는 유독성가스는?
① 불화수소
② 황화수소
③ 염화수소
④ 시안화수소
12. 가연성가스의 분출화재 시 주 밸브를 닫아서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소화방법은?
① 냉각소화
② 제거소화
③ 억제소화
④ 질식소화
13. 통전 중인 전기기구에서 발생한 화재의 종류는?
① A급
② B급
③ C급
④ D급
14. 요리용 및 지방질 기름 화재 시에 이들 물질과 결합하여 비누화반응을 일으키는 소화약제는?
① 제1종 분말소화약제
② 이산화탄소소화약제
③ 제3종 분말소화약제
④ 할론소화약제
15. 옥외소화전에서 막대모양의 굵은 물줄기를 가연물에 직접 방사하는 주수형태는?
① 봉상주수
② 적상주수
③ 무상주수
④ 미분무주수
16. 화재안전기준(NFSC)상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분사헤드 설치제외 장소가 아닌 것은?
① 방재실ㆍ제어실 등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
② 나트륨ㆍ칼륨ㆍ칼슘 등 활성금속물질을 저장ㆍ취급하는 장소
③ 전시장 등의 관람을 위하여 다수인이 출입ㆍ통행하는 통로 및 전시실 등
④ 무인 변전소 등 사람이 없는 장소
17. 화재안전기준(NFSC)상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아닌 것은?
① HFC-2
② HFC-123
③ HFC-125
④ HCFC-124
18.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신호와 타종신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경계신호 – 1타와 연3타를 반복
② 발화신호 – 난타
③ 해제신호 –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④ 훈련신호 – 연3타 반복\
19. 각 층의 바닥면적이 1,800 m2 인 지상 15층의 내화구조 주상복합건축물이 있다. 이 건축물 지상 13층에서의 최소 방화구획 수는? (단, 전 층에 스프링클러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어진 조건 이외의 다른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① 2
② 3
③ 4
④ 5
2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피난행동의 특성은?
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와 정전 등으로 시야가 흐려지면 인간이 어두운 곳에서 개구부, 조명 등의 불빛을 따라 밝은 곳으로 피난하려는 행동 |
① 추종본능
② 퇴피본능
③ 지광본능
④ 귀소본능
2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폭구조는?
전기설비가 정상상태 및 이상상태(단선, 단락, 지락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에 의하여 점화되지 않은 것이 확인된 구조이거나 이격 거리가 형성되어 본질적으로 점화가 되지 않는 구조 |
① 내압 방폭구조
② 안전증 방폭구조
③ 본질안전 방폭구조
④ 유입 방폭구조
22.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방펌프자동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흡수에 지장이 없도록 토사 및 쓰레기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출 것
③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수도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급수되는 구조일 것
④ 소방용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50밀리미터로 할 것
23. 소방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경계지구의 지정 대상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소방청장ㆍ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지역은 제외함)
①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②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③ 고층건축물이 밀집한 지역
④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는 지역
24. 화재하중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① 가연물의 배열상태
② 가연물의 비표면적
③ 화재실의 공기 공급량
④ 가연물의 중량
2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정하고 있는 소방시설 중 소화설비가 아닌 것은?
① 옥내소화전설비
② 물분무소화설비
③ 연결송수관설비
④ 스프링클러설비
26. 건축법령상 피난계단의 설치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것은?
건축물(갓복도식 공동주책은 제외한다)의 ( ㄱ )층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 ( ㄴ )층 이하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
① ㄱ: 5, ㄴ: 1
② ㄱ: 7, ㄴ: 2
③ ㄱ: 10, ㄴ: 2
④ ㄱ: 11, ㄴ: 3
27. 화재안전기준(NFSC)상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 방식이 아닌 것은?
① 건식
② 일제살수식
③ 준비작동식
④ 부압식
2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인접대지 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서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에 설치하는 방화설비가 아닌 것은?
① 갑종방화문
②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③ 환기구멍에 설치하는 불연재료로 된 방화커버
④ 소방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게 창문등에 설치하는 드렌처
2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방화문 성능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갑종방화문은 비차열 ( )이상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
① 20분
② 30분
③ 50분
④ 60분
30. 소방기본법령상 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산림
② 인공 구조물
③ 항해 중인 선박
④ 선박 건조 구조물
31. 건축물 피난계획의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① 2개 이상의 방향으로 피난 할 수 있는 피난로를 확보해야 한다.
② 안내 표지판 등은 그림이나 색보다는 상세한 문자로 해야 한다.
③ 피난경로는 간단명료하게 해야 한다.
④ 피난설비는 가능한 고정설비로 해야 한다.
32.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구유도등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통계단ㆍ직통계단의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에 설치할 것
②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에 설치할 것
③ 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1.5 m 이상으로서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설치할 것
④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 m마다 설치할 것
33. 화재안전기준(NFSC)상 누전경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신부의 음향장치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② 수신부는 옥내의 점검에 편리한 장소에 설치한다.
③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 A를 초과하는 전로에 있어서는 2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다.
④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한다.
34. 화재안전기준(NFSC)상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는 피난구조설비는?
화재발생 등에 따른 정전시에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거실 및 피난통로 등에 설치되어 자동 점등되는 조명등을 말한다. |
① 유도등
② 비상조명등
③ 휴대용비상조명등
④ 피난유도선
35. 화재안전기준(NFSC)상 수계소화설비에서 구조물 또는 지형지물 등에 설치하여 자연낙차의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는?
① 지하수조
② 고가수조
③ 압력수조
④ 가압수조
36. 화재안전기준(NFSC)상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구음향장치는 수신기의 내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한다.
② 지하구의 경우에는 발신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위한 종단저항을 감지기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한다.
④ 4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한다.
3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정하고 있는 소방시설 중 경보설비는?
① 완강기
② 비상방송설비
③ 비상콘센트설비
④ 옥외소화전설비
38.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무색이다.
② 주성분은 메탄(CH4)이다.
③ 기체상태에서는 공기보다 무겁다.
④ 완전연소 시 CO2와 H2O가 발생한다.
39. 화재안전기준(NFSC)상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동으로는 기동할 수 없는 구조로 할 것
②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는 것으로 할 것
③ 각 방호구역내의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도록 할 것
④ 기계식 기동장치는 저장용기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40. 화재안전기준(NFSC)상 특정소방대상물에 스프링클러헤드 설치제외 장소가 아닌 것은?
① 수영장 관람석
② 발전실
③ 변전실
④ 병원의 수술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