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범죄학자가 범죄를 바라보는 3가지 관점이 아닌 것은?
① 합의론적 관점
② 갈등론적 관점
③ 상호작용론적 관점
④ 추상론적 관점
42. 범죄의 공간적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순찰활동의 기초자료로 주로 활용하는 분석방법은?
① 코호트 연구
② 범죄지도
③ 실험연구
④ 범죄피해조사
43. 다음 중 암수범죄(hidden crime)가 가장 적은 범죄는?
① 강간
② 살인
③ 도박
④ 성매매
44. 서덜랜드와 크레시(Sutherland &Cressey)가 주장한 범죄학의 관심영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범죄원인의 규명
② 법률의 제정과 적용과정
③ 법위반에 대한 통제
④ 윤리적 연구방법
45. 자기보고식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밀성과 익명성이 필요하다.
② 통상적으로 표집(sampling)을 통해서 조사가 이루어진다.
③ 경찰에 신고되지 않은 범죄는 조사에 포함되지 않는다.
④ 결측치(missing cases)가 문제가 될 수 있다.
46. 범죄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공식범죄통계는 해당 기간 발생한 모든 범죄 사건을 포함한다. ㄴ. 공식범죄통계에서 누락된 범죄가 범죄피해조사에서는 포함될 수 있다. ㄷ. 자기보고식 조사는 성별·연령과 같은 배경정보를 포함한다. ㄹ. 범죄피해조사를 통해 살인이나 마약 사용과 같은 주요 범죄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얻을 수 있다. |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47. 1963년부터 대검찰청에서 발행하는 공식통계는?
① 경찰백서
② 범죄백서
③ 사법연감
④ 범죄분석
48. 다음 그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근 20년간 총범죄율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② 총범죄율은 1980년대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③ 재산범죄율은 폭력범죄율보다 높다.
④ 폭력범죄율은 1990년대에 절정에 이르렀다.
49.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범죄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여성범죄율이 남성범죄율보다 높다.
② 하류층의 범죄율이 상류층보다 높다.
③ 폭력범죄 발생건수는 대도시보다 농어촌이 많다.
④ 연령과 범죄율 사이의 관련성은 없다.
50. 성별에 따른 범죄율의 차이를 설명하는 관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집합효율성
② 성역할의 사회화
③ 여성의 낮은 지위
④ 여성의 낮은 공격성
51. 머튼(Merton)의 아노미이론에서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을 수용(+) 또는 거부(-)하는지에 따라 나눈 5가지 적응양식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ㄱ), (ㄴ), (ㄷ), (ㄹ), (ㅁ))
적응양식 | 문화적 목표 | 제도적 수단 |
( ㄱ ) | + | + |
( ㄴ ) | + | – |
( ㄷ ) | – | + |
( ㄹ ) | – | – |
( ㅁ ) | ± | ± |
① 혁신, 동조, 도피, 의례, 반역
② 동조, 혁신, 도피, 의례, 반역
③ 동조, 혁신, 의례, 도피, 반역
④ 동조, 반역, 의례, 도피, 혁신
52. 사이크스와 맛짜(Sykes &Matza)의 중화기술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책임의 부정
② 피해자의 부정
③ 가해의 부정
④ 가족의 부정
53. 실증주의 범죄학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죄발생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연구하였다.
② 범죄의 유발원인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③ 범죄의 심각성에 비례한 처벌을 강조하였다.
④ 롬브로조(Lombroso)의 생래적 범죄자이론은 실증주의의 대표적 이론이다.
54. 울프갱(Wolfgang)과 동료들이 수행한 필라델피아 코호트 연구의 대표적인 결과로 옳은 것은?
① 대부분의 범죄자는 청소년기에 비행경력이 없다.
② 연령과 범죄 사이의 관계는 발견되지 않는다.
③ 한 번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은 대부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범죄를 저지른다.
④ 소수의 만성범죄자가 저지른 범죄가 전체 범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55. 낙인이론과 관련 있는 개념은?
① 차별적 강화
② 중화의 기술
③ 이차적 일탈
④ 아노미
56. 애그뉴(Agnew)의 일반긴장이론에서 주장하는 긴장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긍정적 목표달성의 실패
② 경제제도에 대한 비경제제도의 종속
③ 긍정적 자극의 소멸
④ 부정적 자극에의 직면
57. 범죄에 관한 생물학적 또는 심리학적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낮을수록 폭력범죄 가능성이 높다.
② 아동기의 ADHD는 반사회적 행동의 가능성을 낮춘다.
③ 지능이 높은 사람이 강력범죄를 많이 저지른다.
④ 각성수준이 낮은 사람은 범죄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
58. 헤이건(Hagan)의 권력통제이론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범죄자는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준다.
② 범죄는 학습된다.
③ 전통적인 남성지배적 가정에서 딸은 더 엄격하게 통제된다.
④ 평화와 인본주의가 범죄를 줄일 수 있다.
59. 다음 중 사회해체이론에서 주장한 범죄율이 높은 지역은?
① 도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
② 주민들의 평균 거주기간이 긴 지역
③ 인종이나 민족 구성이 다양한 지역
④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
60. 억제이론(deterrence theory)에서 처벌의 3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엄격성
② 신속성
③ 과학성
④ 확실성
61. 사회유대의 요소로 애착(attachment), 관여(commitment), 참여(involvement), 신념(belief)을 주장한 학자는?
① 허쉬(Hirschi)
② 나이(Nye)
③ 레크리스(Reckless)
④ 맛짜(Matza)
62. 집단갈등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① 볼드(Vold)
② 깁스(Gibbs)
③ 레머트(Lemert)
④ 베커(Becker)
63. 다음의 연구결과가 지지하는 이론은?
– 비행친구과의 지속적인 관계에 있는 청소년은 범죄를 지지하는 태도를 계속 유지한다. – 일탈행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비행을 더 저지른다. – 마약사용자들과 친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은 마약중독 가능성이 높다. |
① 억제이론
② 낙인이론
③ 차별접촉이론
④ 아노미이론
64. 현 정부에서 규정한 4대 사회악이 아닌 것은?
① 성폭력
② 가정폭력
③ 학교폭력
④ 조직폭력
65.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주요내용이 아닌 것은?
① 학부모의 형사처벌
② 피해학생의 보호
③ 가해학생의 선도
④ 피해학생과 가해학생간의 분쟁조정
66. 연쇄살인의 주요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반복 가능성이 있다.
② 사이코패스와 관련이 없다.
③ 사건사이에 시간적 공백이 있다.
④ 사건사이에 심리적 냉각기를 가진다.
67. ‘폭력의 하위문화’ 개념을 제시한 학자는?
① 울프갱과 페라쿠티(Wolfgang &Ferracuti)
② 서덜랜드와 크레시(Sutherland &Cressey)
③ 갓프레드슨과 허쉬(Gottfredson &Hirschi)
④ 에이커스와 버제스(Akers &Burgess)
68.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직업활동의 과정에서 저지르는 범죄’라고 서덜랜드(Sutherland)가 주장한 범죄유형은?
① 사이버범죄
② 화이트칼라범죄
③ 정치범죄
④ 피해자 없는 범죄
69. 천연약물, 합성약물, 대용약물 중 천연약물이 아닌 것은?
① 아편
② 대마초
③ 코카인
④ 엑스터시
70. 전문절도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문적인 절도기술을 가지고 있다.
② 즉흥적, 무계획적으로 범행을 한다.
③ 장물처리가 능숙하다.
④ 돈을 얻기 위해 고도의 기술을 사용한다.
71. 마약의 재배, 유통, 제조 등 공급을 차단하는 규제전략은?
① 생산지 관리
② 교육적 전략
③ 치료 전략
④ 취업지원프로그램
72. 복수, 파괴 등 악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이버범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컴퓨터 바이러스
② 피싱
③ 사이버 스토킹
④ 트로이목마
73. 자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유형은 보호관찰소에서 집행한다.
② 신체적 자유를 박탈하는 형벌이다.
③ 단기자유형은 악풍감염의 폐해가 있다.
④ 우리나라는 징역형, 금고형, 구류형이 있다.
74.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기본원리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영역성
② 자연적 감시
③ 이미지
④ 특별억제
75. 상황적 범죄예방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처벌을 강화한다.
② CCTV를 설치한다.
③ 출입문에 인터폰을 설치한다.
④ 상가 건물에 경비원을 배치한다.
76. “재범율이 높은 것은 교도소가 범죄학교이기 때문이다.”라는 주장과 부합하는 이론은?
① 사회학습이론
② 억제이론
③ 아노미이론
④ 정신분석이론
77. 소년사법제도의 기본이념으로 옳은 것은?
① 국친사상
② 근친사상
③ 응보주의
④ 무력화
78.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신뢰관계자의 동석
② 피해자 통지제도
③ 피해자의 법정진술권 및 진술의 비공개
④ 미란다원칙
79. 형벌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억제
② 갱생
③ 모방
④ 응보
80. 보호관찰의 업무영역이 아닌 것은?
① 수강명령의 집행
② 벌금형의 집행
③ 사회봉사명령의 집행
④ 보호관찰 대상자 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