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범죄학의 학문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종합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② 하나의 범죄행위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③ 범죄를 바라보는 관점이 단일하다는 특징이 있다.
④ 학제 간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42. 다음의 지문과 관련이 있는 학자는?

범죄자들은 비범죄자들과 구별되는 유별난 신체적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범죄자들은 생물학적으로 덜 진화된 퇴행적 특징들을 보인다.

① 서덜랜드(Sutherland)
② 롬브로조(Lombroso)
③ 갓프레드슨과 허쉬(Gottfredson &Hirshi)
④ 맛짜(Matza)

 

 

 

43. 화이트칼라 범죄에 속하지 않는 행위는?
① 기업의 탈세
② 기업 사무실 침입절도
③ 기업의 공정거래 관련 법규 위반
④ 증권사 직원의 주식 내부자 거래

 

 

 

44. 마약류 중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옳은 것은?
① 코카인(cocaine)
② 헤로인(heroin)
③ 프로포폴(propofol)
④ 모르핀(morphine)

 

 

 

45. 다음에서 프로이드(S. Freud)가 제시한 인성의 요소는?

• 도덕과 양심의 기능을 담당한다.
• 완벽추구적으로 작동한다.
• 지나칠 경우 죄책감이나 불안을 경험하기도 한다.

① id(원초아)
② ego(자아)
③ super ego(초자아)
④ libido(성적 에너지)

 

 

 

46. 사회 내 처우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휴대금품의 영치
② 보호관찰
③ 사회봉사명령
④ 수강명령

 

 

 

47. 법률적으로 범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이 아닌 것은?
① 책임성
② 위법성
③ 문화성
④ 구성요건해당성

 

 

 

48. 특정 범죄자에 대한 보호관찰 및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상 위치추적 전자장치의 부착을 청구할 수 없는 것은?
① 성폭력범죄
② 미성년자 대상 유괴범죄
③ 살인범죄
④ 모욕범죄

 

 

 

49. 고전주의 범죄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인간의 자유의지를 인정한다.
ㄴ. 범죄를 일으키는 개인의 생물학적 특질에 많은 관심을 둔다.
ㄷ. 형벌을 통한 억제에 많은 관심을 둔다.
ㄹ. 인간은 합리적 존재임을 가정한다.
ㅁ. 롬브로소(Lombroso)의 ‘생래적 범죄자론’이 대표적 이론이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ㅁ
④ ㄱ, ㄷ, ㄹ

 

 

 

50.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상 명시된 ‘성매매피해자’가 아닌 것은?
① 위계, 위력, 그 밖에 이에 준하는 방법으로 성매매를 강요당한 사람
② 성매매를 하도록 알선ㆍ유인된 청소년
③ 성매매 장소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
④ 성매매 목적의 인신매매를 당한 사람

 

 

 

51. 학교폭력 가해자의 일반적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충동에 대한 통제력이 강하다.
② 죄책감이나 동정심이 적은 편이다.
③ 권력과 지배에 대한 욕구가 강하다.
④ 폭력적 성향이 강한 편이다.

 

 

 

52. 허칭스와 메드닉(Hutchings &Mednick)의 입양아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입양아의 범죄성에 생부와 양부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② 유전이 범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③ 생부가 범죄자일 때 보다 양부가 범죄자일 경우, 입양아가 범죄자가 될 확률이 더 크다고 보았다.
④ 환경과 유전의 영향이 엄밀히 분리되지 못한 연구였다는 비판도 있다.

 

 

 

53. 조직범죄(organized crime)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위계성
② 위협이나 무력 등 불법적 수단 사용
③ 불법적 이익 추구
④ 일시성

 

 

 

54. “미국의 범죄문제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훨씬 심각한 이유는 가족, 교육, 정치등 다른 사회제도들의 힘보다 경제제도의 힘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한 학자는?
① 메스너와 로젠펠드(Messner &Rosenfeld)
② 클로워드와 올린(Cloward &Ohlin)
③ 서덜랜드(Sutherland)
④ 울프갱과 페라쿠티(Wolfgang &Ferracuti)

 

 

 

55. 경찰청에서 발행하는 공식통계가 아닌 것은?
① 범죄백서
② 경찰통계연보
③ 범죄분석
④ 경찰백서

 

 

 

56. 성매매에 대하여 금지주의(abolitionism)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① 프랑스
② 스페인
③ 이탈리아
④ 태국

 

 

 

57. 재산범죄가 아닌 것은?
① 손괴
② 사기
③ 절도
④ 강간

 

 

 

58. 다소 긴 기간 동안 심리적 냉각기를 거치며 다수의 장소에서 4인 이상 살해하는 것은?
① 표출적 살인
② 연쇄 살인
③ 도구적 살인
④ 연속 살인

 

 

 

59. 범죄율 및 처벌의 성별 차이를 설명하는 이론 또는 가설이 아닌 것은?
① 남성성 가설
② 권력통제이론
③ 기사도 가설
④ 자아훼손이론

 

 

 

60. 브랜팅햄과 파우스트(Brantingham &Faust)의 범죄예방 구조모델 접근법과 대상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1차적 예방과 일반대중
② 2차적 예방과 범죄자
③ 3차적 예방과 우범자 집단
④ 4차적 예방과 일반대중

 

 

 

61. 범죄피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범죄예방대책 자료로 활용할 수 없다.
② 조사대상자에게 범죄피해에 대한 경험이 있는지를 묻고 응답을 통해 수집한다.
③ 범죄피해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④ 공식통계에 비해 암수범죄를 파악하기 어렵다.

 

 

 

62. 다음 내용의 연구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A와 B 집단의 청소년들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A 집단만 교도소를 방문 시켰다. 삼 개월 후 A와 B 집단의 비행행동 빈도를 비교하였더니 교도소를 방문하였던 A집단의 비행행동이 감소하였다.

① 통계자료분석
② 설문조사
③ 사례연구
④ 실험연구

 

 

 

63. 다음 그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살인 발생건수는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② 2011년 대비 2014년의 성범죄 발생건수는 100 % 이상 증가하였다.
③ 2012년 강도 발생건수는 2014년 성범죄 발생건수의 1/3이하이다.
④ 2014년 방화 발생건수는 전년 대비 증가 하였다.

 

 

 

64. 자연적 감시, 영역성 강화, 접근통제의 기본전략을 배경으로 한 범죄예방은?
① BBP
② COP
③ CPTED
④ MMPI

 

 

 

65. 에크와 스펠만(Eck &Spellman)이 제시한 탐색-분석-대응-평가 단계를 통한 경찰활동은?
① 전통적 경찰활동
②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③ 원시적 경찰활동
④ 무관용 경찰활동

 

 

 

66. 소년법상 소년보호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수강명령
② 사회봉사명령
③ 즉결심판
④ 보호관찰관의 단기보호관찰

 

 

 

67.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가정구성원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① 이혼한 전처
② 동거하지 않는 사실상 양친
③ 동거하지 않는 계부모
④ 동거하지 않는 4촌

 

 

 

68. 현 정부가 표방한 4대 사회악(惡)에 해당하는 것은?
① 불량식품
② 주취폭력
③ 보이스피싱
④ 조직폭력

 

 

 

69. 다음의 주장을 한 학자는?

법의 제정·위반·집행 등 정치적 과정은 이익집단들 사이의 뿌리 깊고 근원적인 갈동과 국가경찰력의 장악을 위한 투쟁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것이다. 입법 당시 다수파는 누가 법위반자인가를 결정하는 경찰을 지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① 볼드(Vold)
② 뒤르켐(Durkheim)
③ 필(Peel)
④ 밀러(Miller)

 

 

 

70. 「범죄와 형벌」이라는 저서에서 처벌(형벌)의 엄격성, 확실성, 신속성을 통해 범죄를 억제(deterrence)할 수 있다고 주장한 학자는?
① 머튼(Merton)
② 사이크스와 맛짜(Sykes &Matza)
③ 허쉬(Hirschi)
④ 베카리아(Beccaria)

 

 

 

71.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상 신상정보 공개 고지명령의 집행권자는?
① 경찰서장
② 여성가족부장관
③ 관할 보호관찰소장
④ 관할 지방검찰청 검사

 

 

 

72. 비대면성과 익명성을 특징으로 가상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는?
① 조직폭력범죄
② 살인범죄
③ 도박범죄
④ 사이버범죄

 

 

 

73. 형벌의 종류 중 자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징역
② 구류
③ 벌금
④ 부정기형

 

 

 

74. 범죄통계 상 연령대 구성비를 아래 그래프와 같이 나타낼 때, 허쉬와 갓프레드슨(Hirschi &Gottfredson)이 주장한 연령과 범죄율의 관계에 부합하는 범죄유형은?

① 지능범죄
② 강력범죄
③ 절도범죄
④ 폭력범죄

 

 

 

75. 범죄학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죄의 현상ㆍ원인ㆍ예방이 연구범위에 포함된다.
② 범죄에 대한 대응은 연구범위에서 제외한다.
③ 계량적 연구가 가능하다.
④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이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76. 모피트(Moffitt)의 발전이론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사회자본(social capital)
② 성숙격차(maturity gap)
③ 생애지속형 범죄자
④ 청소년기 한정형 범죄자

 

 

 

77. 다음은 어느 이론과 관련 있는 설명인가?

개인이 행사하는 통제의 양에 대한 그가 받는 통제의 양이 비율이 일탈의 발생가능성뿐만 아니라 일탈의 유형도 결정한다.

① 사회해체이론
② 통제균형이론
③ 자기통제이론
④ 권력통제이론

 

 

 

78. 머튼(R. Merton)의 아노미이론에서 알코올중독자에게서 나타나는 적응양식은?
① 도피형(retreatism)
② 혁신형(innovation)
③ 의례형(ritualism)
④ 동조형(conformity)

 

 

 

79. 애그뉴(R. Agnew)의 일반긴장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본적으로 비행을 축적된 스트레스의 결과로 본다.
② 개인이 받는 부정적 압력보다 긍정적 압력을 비행의 원인으로 주목한다.
③ 긍정적 자극의 소멸은 비행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고 예측한다.
④ 부정적 감정이 긴장과 비행을 매개한다고 본다.

 

 

 

80. 다음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은?

• 자신이 존경하는 사람이 그들의 약탈을 보상할 것이라고 기대하면 약물남용 가능성이 커진다.
• 부모가 자녀의 순응행동에 대해 일관되기 긍정적 보상을 하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 적절하게 부정적 제재를 할 때, 자녀는 순응행동을 자주 하게 된다.
• 비행집단에 소속된 청소년은 비행 모형에 노출되고 비행에 대한 강화를 받기 때문에 비행을 많이 저지르게 된다.

① 사회학습이론
② 사회유대이론
③ 자기통제이론
④ 낙인이론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