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법과 범죄에 대한 다음의 관점과 관련이 깊은 것은?
법은 지배계층을 보호할 수 있는 도구이고, 부와 권력의 불평등란 분배로 인해 범죄가 발생한다. |
① 사회해체이론
② 아노미이론
③ 갈등이론
④ 진화론적 생태이론
2. 범죄학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죄현상에 대해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② 학제 간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③ 종합과학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④ 범죄학에 대한 정의는 명확하고 통일되어 있다.
3. 법과 범죄에 관한 상호작용론적 관점은?
① 권력집단이 기득권 강화를 위해 법률과 사법제도를 이용한다.
② 법률은 사회 주류의 가치 및 신념을 반영하여 제정된다.
③ 법률이 사회질서 유지에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
④ 범죄자는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여 일탈자로 낙인찍힌 사람들이다.
4. 범죄학자A는 경찰관들이 순찰중 보이는 행동특성을 직접 관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범죄학자A가 수행한 연구방법은?
① 실험연구
② 현장 조사연구
③ 사례연구
④ 자기보고식 연구
5. 공식범죄통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범죄백서는 대검찰청에서 발행하는 공식통계이다.
② 암수범죄의 체계적인 집계가 가능하다.
③ 범죄자의 태도와 가치에 대한 세세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④ 형사사법기관의 유형에 따라 통계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6. 범죄피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사대상자에게 가해 경험을 묻는 방식으로 조사를 수행한다.
② 피해사실을 보고하는 과정에서 과대 혹은 과소보고가 될 수 있다.
③ 표본의 규모가 매우 작아 일반화의 오류가 없다.
④ 마약 및 도박과 같이 피해자 없는 범죄의 조사에 적합하다.
7. 최근 소년범죄의 일반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13세 이하의 범죄자가 가장 많다.
② 재산범죄가 폭력범죄보다 많다.
③ 우발적인 원인보다 보복적인 원인이 많다.
④ 최근 10년간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8. 다음은「2019 범죄백서」에서 제시한 강력범죄(살인, 강도, 성폭력, 방화)의 추세이다.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9. 「2019 범죄백서」에 따른 범죄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죄발생율은 인구 10만 명당 발생건수를 의미한다.
② 노인범죄 발생건수는 2018년이 2014년보다 많다.
③ 폭력범죄의 발생건수는 교통범죄보다 많다.
④ 범죄백서는 피해자 없는 범죄도 포함한다.
10. 경제적 환경과 범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대적 박탈감이 범죄의 충동을 느끼게 할 수 있다.
② 인플레이션은 생계형 범죄의 감소를 초래한다.
③ 장기적 불경기는 재산범죄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④ 실업과 범죄의 관계는 사회적 여건에 따라 달라진다.
11. 공식통계상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여성범죄는 폭력범죄보다 재산범죄가 많다.
② 강도ㆍ성폭력 발생비율은 대도시가 농어촌보다 높다.
③ 노인범죄는 폭력범죄보다 재산범죄가 많다.
④ 범죄와 사회경제적 지위의 관계는 일관적이다.
12. 쉘던(W. Sheldon)이 분류한 신체유형 중 살찌고 둥글며 행동이 느린 유형은?
① 내배엽형
② 중배엽형
③ 외배엽형
④ 운동형
13. 범죄 원인의 규명을 위해 롬브로소(C. Lombroso)가 최초에 관심을 집중한 것은?
① 두개골
② 실업률
③ 자유의지
④ 인구밀도
14. 샘슨과 라웁(Sampson &Laub)의 연령-등급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어린 시절 비행은 성인기 범죄행위를 이해하는데 중요하지만 충분하지 않다.
② 젊은 성인기의 긍정적 경험은 범죄자의 궤적이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③ 부정적 경험이 반복되어 누적된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은 범죄행위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④ 범죄에서 정상생활로의 전환에는 결혼이나 취업이 주요 역할을 하지 않는다.
15. 낙인이론가가 아닌 사람은?
① 울프강(M. Wolfgang)
② 베커(H. Becker)
③ 탄넨바움(F. Tannenbaum)
④ 레머트(E. Lemert)
16. 서덜랜드(E. Sutherland)의 차별접촉이론을 보상과 처벌의 관점에서 발전시킨 학습이론가는?
① 퀴니(R. Quinney)
② 에이커스(R. Akers)
③ 마르크스(K. Marx)
④ 페리(E. Ferri)
17. 허쉬(T. Hirschi)와 함께 자기통제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① 베카리아(C. Beccaria)
② 벤담(J. Bentham)
③ 갓프레드슨(M. Gottfredson)
④ 프로이드(S. Freud)
18. 사회해체이론을 주장한 학자들로 묶인 것은?
① 챔블리스와 사이드만(Chambliss &Seidman)
② 메스너와 로젠펠드(Messner &Rosenfeld)
③ 쇼와 맥케이(Shaw &McKay)
④ 클로워드와 올린(Cloward &Ohlin)
19. 다음 중 성격이 다른 이론은?
① 밀러(W. Miller)의 하류계층문화이론
② 숀베리(T. Thornberry)의 상호작용이론
③ 모피트(T. Moffitt)의 생애과정지속이론
④ 샘슨과 라웁(Sampson &Laub)의 연령등급이론
20. 트렘블레이(R. Tremblay)의 공격성 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격성은 아동기에 형성된다.
② 공격성이 최고에 이르는 시기는 성인기이다.
③ 공격성은 주로 청소년기의 호르몬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④ 공격성은 주로 청소년기에 나쁜 친구들에 의해 학습된다.
21. 갈등이론가에 해당하는 학자는?
① 브레이스웨이트(J. Braithwaite)
② 볼드(G. Vold)
③ 맛차(D. Matza)
④ 뒤르껭(E. Durkheim)
22. 아노미상태에서 개인의 5가지 적응양식(동조, 혁신, 의례, 도피, 반역)을 제안한 사람은?
① 머튼(R. Merton)
② 코헨(A. Cohen)
③ 애그뉴(R. Agnew)
④ 콘하우저(R. Kornhauser)
23. 성격이 다른 범죄자 유형은?
① 조현병자
② 반사회적 성격장애자
③ 소시오패스
④ 사이코패스
24. 살인과 다음 살인 사이에 이른바 ‘심리적 냉각기(cooling – off period)’를 갖고 있는 범죄는?
① 연쇄살인
② 연속살인
③ 대량살인
④ 암수살인
25. 폭력범죄인 것은?
① 횡령
② 강도
③ 절도
④ 사기
26. 재산범죄인 것은?
① 배임
② 폭행
③ 살인
④ 강간
27. 화이트칼라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형사처벌의 어려움과 죄의식 결여
② 범행의 일회성
③ 사회불신과 허탈감 조장
④ 가해자의 전문성과 피해자의 무지
28. 그로스(N. Groth)의 강간 유형론 중 여성에 대한 폭력행사보다 소유욕 때문에 범행하는 유형은?
① 지배강간
② 분노강간
③ 가학성 변태성욕
④ 피학성 변태성욕
29. 조직범죄의 일반적 특성이 아닌 것은?
① 폭력이나 매수 등의 약탈적 전술 구사
② 내부 규율과 이를 위반할 경우의 응징
③ 조직 내 위치에 따른 임무와 역할의 분화
④ 경제적 이득보다는 정치적 이득 추구에 집중
30. 사이버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범행의 국제성과 광역성
② 발각과 원인규명의 곤란
③ 범죄자의 범죄의식 희박
④ 전문가나 내부자의 범행은 극소수
31. 엑스터시(Ecstas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아편으로 만든 천연 마약이다.
② 의사의 처방이 있으면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③ 클럽마약, 도리도리 등으로 불린다.
④ 감기약으로 진해작용이 있고 코데인 대용품이다.
32. 전환제도(divers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미한 형사범에게 유용한 제도이다.
② 범죄자의 낙인방지효과가 있다.
③ 형사사법기관의 업무량을 증가시킨다.
④ 사법처리의 불평등을 가져올 수 있다.
33. 형벌 중 자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징역
② 금고
③ 구류
④ 몰수
34. 범죄자의 사회 내 처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보호관찰
② 귀휴제
③ 사회봉사명령
④ 수강명령
35. 회복적 사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해자의 사회복귀에도 유리하다.
② 가해자, 피해자 및 지역사회가 참여하여야 한다.
③ 피해자의 치유와 피해의 회복에 기여하게 된다.
④ 삼진 아웃제는 회복적 사법의 예에 해당된다.
36. 다음이 설명하는 교정처우 모델은?
• 수용자의 자율성을 존중한다. • 수용자의 사회복귀를 목적으로 한다. • 수용자 개인의 변화와 지역사회의 변화를 강조한다. |
① 재통합모델
② 의료모델
③ 억제모델
④ 사법모델
37. 다음과 같이 레페토(T. Reppetto)가 분류한 범죄전이(crime displacement)의 유형은?
A는 상습절도를 저지르다가 절도행각을 그만두고 사기범죄로 전환하였다. |
① 지역적 전이
② 목표의 전이
③ 기능적 전이
④ 시간적 전이
38. 범죄피해와 관련된 이론이 아닌 것은?
① 생활양식노출이론
② 합리적 선택이론
③ 피해자 – 가해자 상호작용이론
④ 사회유대이론
39. 브랜팅햄과 파우스트(Brantingham &Faust)의 범죄예방 구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차적 예방은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다.
② 1차적 예방의 예로는 환경설계, 이웃감시 등이 있다.
③ 2차적 예방은 특별예방과 관련이 있다.
④ 3차적 예방은 범죄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40. 소년법상 보호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수강명령
② 보안관찰
③ 단기 보호관찰
④ 단기 소년원 송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