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속신앙과 무속신앙

1. 토속신앙

(1) 의미 : 우리 민족이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오면서 자연환경과 생활 조건에 따라 형성하게 된, 초자연적 힘이나 신성한 대상을 숭배하는 독특한 믿음체계이다.

 

(2) 유형

① 샤머니즘(shamanism) : 주술적인 샤먼이 초자연적 존재와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점복(占卜), 예언, 병 치료 등을 행하는 종교현상이다.

② 토테미즘(totemism) : 어떤 동·식물이나 물건을 신성하게 여겨서 종족의 상징 또는 수호신으로 삼는 것이다.

③ 애니미즘(animism) : 모든 동·식물이나 세상 모든 만물에 혼령이 깃들어 있다고 믿는 원시신앙이다.

 

 

2. 무속신앙

샤머니즘으로서의 무속은 신령(神靈)의 매개자인 무(巫 : 샤먼)를 통해 복을 빌고 앞날을 예언하고 병을 물리치며 죽은 자의 영혼을 다른 세계에 보내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런 역할은 굿이라는 형식을 빌려 이루어진다. (강신무 : 신내림(1차원적), 세습무 : 혈통세습(2차원적))

 

(1) 무당굿의 종류

① 마을굿 : 해마다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의 굿.

② 개인굿 : 개인의 복을 비는 재수굿과 사람이 죽었을 대 그 혼을 달래는 넋굿, 병굿으로 다시 나뉨.

③ 무(巫)굿 : 강신무들 사이에서 행해지는 내림굿이나 신령굿을 말함.

 

(2) 무속의 기능

① 사제로서의 기능 : 고대부족국가에 있어서 두르러진 것이지만(고대국가 군장), 현재는 그 기능이 쇠퇴하고 사적인 주술(呪術)자 정도로 머뭄.

② 병을 고치는 기능 : 의료시설이 발달하지 못한 전통사회에서 불치(不治)의 병에 걸린 환자에게는 무당의 의한 구병(救病)행위가 큰 의미를 지님.

③ 예언적 기능 : 점복(占卜)의 기능이 예언적 기능을 말해주고 있으며, 전통사회에서 국가의 공공기관으로서 관상감이 서운관 등의 기관이 인정되었는데, 이것은 예언의 필요성 때문에 설치된 기관임.

④ 유희적 기능 : 굿을 할 때 행해진 가무와 음주, 놀이 등은 유희적 기능과 관련됨.

 

(3) 무속의 영향

– 무속은 자신의 요소를 외래 종교의 토착화에 기여함(불교의 무속화, 고려의 도교 무속화 → 무속이 의식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으면서 외래종교나 사상을 자기화하였음을 말함)

– 국가적 종교로서의 면모를 보이기도 함(팔관회, 기우제, 국가적인 복을 빌기 위한 행사 주도)

– 근대 민족주의 성립시기 신흥 민족 종교(조화적인 무속신앙의 부활: 동학, 증산도, 대종교)에 영향을 줌.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1) — 단군신화와 화랑도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2) — 토속신앙과 무속신앙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3) — 한국도교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4) — 한국불교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5) — 한국유교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6) — 한국실학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7) — 동학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8) — 척사위정사상과 개화사상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