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과목 : 통신보안

 

41. 다음 중 (가)와 (나)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

통신보안 (     가     )란 자체 무선국의 운용감독 및 (    나    ) 등 통신보안 전반에 대하여 책임을 맡은 자를 말한다.

① (가) 관리자 – (나) 연출
② (가) 책임자 – (나) 관리
③ (가) 관리자 – (나) 감독
④ (가) 책임자 – (나) 연출

 

 

 

42. 다음 중 통신보안교육 대상자가 아닌 자는?
① 아마추어 무선국을 개설·운용하는 자
② 이동통신사에서 개설한 기지국에 종사하는 자
③ 경찰서 소유 무선국에 종사하는 자
④ 기업체 소유 무선국에 종사하는 자

 

 

 

43. 선박의 긴급상황 발생 시 아국 선박임을 확인하거나, 상대 선박이 의심스러울 때 아국 선박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를 의미하는 것은?
① 무선국명
② 선박확인부호
③ 호출명칭
④ 고유식별부호

 

 

 

44.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것은?

(          )란 정보통신 보안을 위하여 암호기술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장치나 수단으로서 I · II급 비밀 및 III급 비밀 소통용 (          )로 구분하는 장치나 수단을 말한다.

① 약호자재
② 암호자재
③ 약어자재
④ 통신자재

 

 

 

45. 발신 전문의 사전 보안성 검토 절차 중 적절한 것은?
① 보안성 검토 및 발신방법 저장 → 보안담당관 검토 → 문서통제관 확인 → 전문발송차 최종 검토
② 보안담당관 지정 → 보안담당관 검토 및 발신방법 검토 → 전문발송자 확인 → 문서통제관 최종 검토
③ 전문발송자 지정 → 문서통제관 검토 → 보안성 검토 및 발신방법 확인 → 보안담당관 최종 검토
④ 문서통제관 지정 → 전문발송자 검토 → 보안담당관 최종 확인 → 보안성 검토 및 발신방법 확인

 

 

 

46. 다음 중 통신정보에 해당하는 것은?
①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제도 홍보
② 전자회사의 TV 신제품 광고
③ 판매 중인 하이브리드차의 일반 제원
④ 한국형 구축함(KDX-1)의 설계도

 

 

 

47. 다음 중 암호자재의 긴급파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암호자재의 긴급파기 계획은 평상시에 수립되어 있어야 한다.
② 사용 중인 암호자재를 계속 보유할 수 없을 때에는 배부처가 적은 것부터 파기한다.
③ 긴급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기간이 끝난 암호자재, 예비용 암호자재 및 사용 중인 암호자재 순으로 파기한다.
④ 암호자재를 관리·운용하는 사람은 긴급사태 발생으로 암호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파기할 수 있다.

 

 

 

48. 유선통신의 경우 그 선로자체에 도청장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하여 통신 내용을 수집하며, 무선통신은 전파가 미치는 범위 어느 곳에서든지 같은 방식의 수신기 설치로 통한 내용의 수집이 가능하다. 이것이 설명하는 통신정보의 유출 유형이 아닌 것은?
① 통신소침투
② 교신분석
③ 방향탐지
④ 방해통신

 

 

 

49. 유선통신(유선전화)의 보안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주요 내용은 암호화
② 주요 내용은 보안장비 사용
③ 가공선로는 지상에 매설
④ 주기적인 선로(단자판 등) 보호 철저

 

 

 

50. 데이터통신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일시에 대량 전송이 가능하므로 풍부한 정보제공의 원천이 된다.
② 암호장비·암호프로그램 등의 개발 및 적용 노력이 부족할 수 있다.
③ 통신선로 또는 중간단자 등에서 도청이 가능하다.
④ 보안의식이 강조되어 비밀 사항을 평문으로 소통할 가능성이 적다.

 

 

1 2 3 4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