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치원이 왕에게 시무 10조를 건의 → 신라 진성여왕

• 복신과 도침 등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 → 백제부흥운동

• 붉은 바지를 입은 도적(적고적), 원종과 애노 → 신라 말 진성여왕

• 911년 → 궁예가 국호를 태봉으로 바꾸었다

• 788년 → 통일신라시대 독서삼품과가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 681년 → 왕의 장인인 김흠돌이 반란을 일으켰다

• 661(문무왕)~780(혜공왕)년 → 무열왕의 직계 자손이 왕위를 세습하였다

• 780년 → 혜공왕이 귀족 세력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 상주 가은현 출신으로 무진주를 습격하고 왕이 됨, 완산주에 이르니 백성드이 환영, 완산주에 도읍 → 후백제 견훤

• 후당, 오월에 사신을 파견 → 후백제의 견훤

• 광평성을 비롯한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 → 궁예

• 신라의 금성을 습격하여 경애왕을 죽게 하였다 → 후백제의 견훤

•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 → 고려 태조 왕건

• 신라 왕족의 후예, 송윽을 도읍으로 나라를 세움, 미륵북을 지칭 → 후고구려 궁예

• 후당, 오월에 사신을 보냄 → 후백제 견훤

• 금산사에 유폐된 후 고려에 복귀 → 후백제 견훤

• 지방관을 감찰하고자 외사정을 파견 → 신라 문무왕

•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무역을 전개 → 신라 장보고

• 마진이라는 국호와 무태라는 연호를 사용 → 궁예는 904년 국호를 마진으로, 연호를 무태로 변경 사용

• 서원경 부근 4개 촌락의 인구와 토지 등을 조사하였다 → 신라 촌락 문서(민정 문서)

• 은병이 화폐로 제작 → 고려

•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 고구려

• 목화, 담배 등이 상품작물로 재배 → 조선 후기

• 울산항, 당항성이 무역항으로 번성, 이슬람과 교역 → 통일신라

• 현직 관리를 대상으로 직전법이 실시 → 조선 세조

• 대무예가 일본에 국서와 선물을 보냄 → 발해 2대 왕, 무왕

•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 → 백제 무령왕

• 교육기관으로 태학과 경당을 두었다 → 고구려

•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다 → 신라 골품제

• 화백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 → 신라

• 거란도, 영주도 등을 통해 주변 국가와 교류 → 발해

• 설총을 낳음, 무애가를 지어 세상에 퍼뜨림 → 신라 원효

• 부석사를 창건 → 신라 의상

• 백련 결사를 주도 → 고려의 요세

• 왕오천축국전 → 신라의 혜초

• 금강삼매경론 → 신라 원효(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등 저술로 불료 이해 수준을 높이고, 아미타 신앙을 널리 전파하며 불교 대중화에 힘씀

• 신편제종교장총록 편찬 → 고려의 의천

• 당에 유학, 부석사 → 신라 의상

• 의상은 7세기에 신라 승려로 당에 유학한 후 돌아와 화멍 사상을 본격적으로 전하여 화엄종을 전파함. 또한 관음신앙을 확산시켜 불교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향가 모음집은 삼대목을 편찬 → 신라의 위홍, 대구화상

•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 힘씀 → 신라의 원효

• 화랑도의 규범으로 세속5계를 제시 → 신라의 원광

•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엄 사상을 정리 → 신라 의상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