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학 → 유교 경전을 가르치기 위해 박사와 조교를 두었다

•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출토, 도교와 불교의 요소가 복합 → 백제 금동 대향로

• 백제 금동대향로 → 도교와 불교의 요소가 혼합

• 도마 기마인물형 뿔잔 → 가야

• 지안과 평양이 도읍 → 고구려\

• 고구려 초기 무덤 양식은 주로 돌무지무덤이었으나, 벽과 천장에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 등을 담은 고분 벽

• 무령왕릉 석수 → 백제

• 발해 돌사자상 → 발해

• 금관총 금관 및 금제 장식 → 신라

• 수산리 고분 「교예도」 → 고구려

• 무용총 「접객도」 → 고구려

• 강서대묘 「현무도」 → 고구려

• 각저총 「씨름도」 → 고구려

• 밀양 박익 벽화묘의 벽화 → 조선

• 익산, 목찹양식 → 익산 미륵사지 5층 석탑

•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 부여에 있는 백제의 탑

• 경주 불국사 다보탑 → 통일 신라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전북 익산에 있는 백제 무오아 시기의 탑, 목탑 양식을 한 석탑. 탑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금제 사리 봉영기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미륵사의 창건 목적과 석탑의 건립 연대가 정확히 밝혀짐

• 발해 영광탑 → 발해

• 익산 왕궁리 5층 석탑 → 고려 시대

• 깊은 생각에 빠져 있는 모습, 고류사의 불상 →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삼국 시대 제작 추정, 일본 쿄토 고류사에 있는 목조반가사유상과 양식상 매우 유사하나 얼굴 표정, 주름 표현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 통일신라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불상

• 발해 이불병좌상 → 발해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 고구려

•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 고려

• 마애불, 백제의 미소 → 마애여래삼존상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 고려 초기

• 경주 나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 통일 신라

•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 통일신라 또는 고려시대로 추정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백제를 대표하는 불상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 고려

• 김홈들 등이 반란을 도모, 국학을 세우다 → 신문왕

• 신문왕은 즉위 이후 전제 왕권 강화에 힘썼다

• 신문왕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국학을 설치하고, 9주 5소경을 설치하여 지방 제도를 정비하였다

•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복속 → 신라 지증왕

•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 → 신라 진흥왕

•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 → 신라 신문왕은 진골 귀족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고자 시행

• 칭호 마립간 → 신라 내물왕

•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 신라 법흥왕

• 왕이 감은사에 머무를 때 용에게 대나무를 받았고, 행차에서 돌아와 그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만파식적’이라 불렀다 → 신문왕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