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계두가 신라에서는 사람을 등용하는 데 골품제를 따진다고 함, 큰 재주가 골품제를 넘기 어렵다
• 진대법의 배경 → 고구려 고국천왕때 을파소의 건의
• 독서삼품과 → 신라 원성왕의 인재 등용 제도
• 과거제 → 고려 광종 때 후주 출신 쌍기의 건의
• 전민변정도감 → 고려 후기 권문세족에 대한 견제를 목적으로 설치
• 골품제 → 관등 승진 뿐 아니라 집과 수레의 크기 등 일상생활까지 규제하는 제도
• 고구려의 왕 거련(장수왕)이 한성을 공격하여 백제의 왕(개로왕)을 살해 → 장수왕의 백제 공격(475)
• 여러 장수가 안시성을 공격 → 안시성 전투(645)
• 311년(4세기) 서안평을 점령 → 고구려 미천왕
• 612년 → 고구려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사나라 군을 물리침
• 371년(4세기) → 고구려 고국원왕이 백제의 평양성 공격으로 전사
• 3세기 → 관구검이 이끄는 위의 군대가 고구려를 침략
• 400년 → 고구려 광개토 대왕이 군대를 보내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
• 백제, 사비성, 웅진도독부 → 나당 동맹군에 의한 백제 멸망(660)
• 백강, 주류성, 왜국 → 백제 부흥 운동 세력과 왜가 연합하여 백강에서 나당 동맹군과 전투상황(663)
• 676년 → 신라 사찬 시득이 기벌포에서 당군은 격파
• 642년 → 백제 의자왕이 윤충을 보내 대야성을 함락
• 660년 → 백제 계백이 이끄는 군대가 황산벌에서 항전
• 661년 →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백제부흥운동)
• 674년 → 안승이 신라에 의해 보덕국왕으로 책봉되었다 (신라의 고구려 부흥 운동 지원)
• 소정방, 의자왕 → 백제 멸망(660) 이후의 상황
• 설인귀, 기벌포 → 신라가 기벌포 전투(676)에서 당군을 격파
• 371년 → 고구려 고국원왕이 평양성에서 전사
• 554년 → 백제 성왕이 관산성 전투에서 피살
• 648년 → 신라 김춘추가 당과의 군사동맹을 성사
• 612년 → 고구려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수나라 군대를 물리침
• 674년 → 안승이 신라에 의해 보덕왕으로 임명
• 당과 신라 군사, 계백, 황산 → 황산별 전투(660)
• 사찬 시득, 기벌포 → 기벌포 전투(676)
• 681년 → 신라 김흠돌이 반란을 꾀하다 처형
• 642년 → 백제 의자왕이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함락
• 698년 →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동모산에서 건국(발해)
• 670년 → 검모잠이 안승을 왕으로 추대하고 한성(황해도 재령)에서 고구려 부흥 운동을 전개
• 고구려, 사회 보장 제도, 구휼 정책, 고국천왕, 을파소 → 진대법
• 진대법 → 고구려 고국천왕이 재상 을파소를 통해 실시한 빈민 구제 제도로, 흉년이나 봄에 국가가 농민에게 양식을 대여해 주었다가 가을에 갚도록 하였다
• 상평창 → 고려와 조선의 물가 조절 기관
• 구황찰요 → 조선 명종때 간행 (기근 대비)
• 구제도감 → 고려의 빈민 구제 기관
• 혜민국 → 고려의 의료 기관
• 풍월도, 국선도, 김유신 → 화랑도
• 국학 → 통일신라의 유학 교육 기관
• 경당 → 고구려의 지방 교육 기관
• 화랑도 → 신라 진흥왕때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 원광이 제시한 세속 5계를 행동규범으로 삼음
• 화백 회의 → 신라 귀족들로 구성되어 만장일제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