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채택 → 노태우 정부

• 이산가족 고향 방문 최초 성사 → 전두환 정부

• 백제 성왕의 왕성인 부소산성과 백제의 궁궐터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 정림사지 5층 석탑 → 충남 부여

• 장용영의 외영이 설치된 곳 → 수원 화성

• 웅진 천도 이후 백제는 동성왕이 피살되는 등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었다. 이에 성왕은 수도를 사비(부여)로 옮겨 백제의 중흥을 이끌었다

• 배중손이 삼별초를 지휘하였던 근거지 → 진도

• 한성근 부대가 서양 세력에 맞서 항전함 → 문수산성(김포)

• 남북한 경제 협력 사업으로 설치된 공단 → 개성

• 고구려비, 탄금대 → 충북 충주

• 충주 고구려비는 고구려 장수왕이 남진 정책으로 한강 유역을 확보한 루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추정된다. 또한 조선 시대에는 신립이 탄금대에서 배수의 진을 치고 왜군에 맞서 싸우기도하였다

• 직지심체요절이 금속 활자로 간행되었다 → 충북 청주(흥덕사)

•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충남 예산

• 신립은 임진왜란 직후 왜군이 부산을 함락하고 한양으로 진격해 오자, 충주 탄금대에서 왜군과 맞서 사웠지만 패배하고 말았다

• 명 신종의 제사를 지내는 만동묘가 건립되었다 → 충북 괴산

• 만적을 비롯한 노비들이 신분 해방을 도모하였다 → 개성

• 러시아 견제를 구실로 영국이 무단으로 점령한 지역, 임병찬이 유배되어 순국한 것을 기리는 비석 → 거문도

• 옛 궁터, 만월대 → 개성

• 만월대는 북한 황해도 개성시 송악산에 있는 고려의 궁뤌터로 919년에 창건되었다

• 조선 형평사 창립총회가 개최된 곳이다 → 경남 진주

• 동학 농민군과 정부 사이의 화약이 체결된 곳이다 → 전북 전주

• 서희가 소손녕과의 외교 담판을 통해 확보한 곳이다 → 압록강 일대(강동 6주)

• 장수왕 때 국내성에서 천도하여 도읍으로 삼은 곳이다 → 평양

• 1951년 7월 유엔군과 공산군은 개성에서 첫 정전 회담을 가졌다. 이후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 답청절, 화전, 음렬 3월 3일 → 삼짇날

• 칠석날의 전설 →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로 음력 7월 7일이다

• 한식날 → 동지로부터 105일 째의 날이다

•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이다. 삼짇날에는 활터에 모여 편을 짜 활 쏘기 대회를 열었으며, 화전이 쑥떡을 만들어 먹었다. 이날 호랑나비나 노랑나비를 보면 그해 운수가 좋다고 여겼으나, 흰 나비를 보면 그 해에 상복을 입게 된다고 하여 불길하다고 생각했다

• 동짓날에 먹는 음식 → 양력 12월 22~23일 경으로, 팥죽을 쑤어 먹었다

• 단오날에 즐기는 민속놀이 → 음력 5월 5일로, 그네를 타거나 씨름을 하였다

• 음력 5월 5일, 수릿날, 창포물에 머리 감기, 그네, 씨름 → 단오

• 한식 →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찬 음식을 먹는다

• 백중 → 음력 7월 15일로 머슴들에게 일손을 쉬게 하고 돈을 주어 하루를 즐기게 하는 한다

• 추석 →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 중추절. 송편을 먹고 햇과일로 차례를 지냄

• 정월 대보름 → 음력 1월 15일. 부럼깨기, 귀밝이술을 마시며, 오곡밥을 지어 먹는다

• 조선 역대 왕들이 가장 많이 머문 궁궐, 인정정, 돈화문 → 창덕궁

• 1405년(태종 5)에 경복궁에 지어졌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조선 선조 말~조선 광해군 때 복구가 이루어졌으나 인조반정 때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었고, 이후 방치되다가 1647년에 복구되었다. 조선의 역대 왕들이 가장 많이 머물면서 경험한 다양하고 복잡한 왕실 생활이 담겨 있기 때문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도성 내 서쪽에 있어 서궐로 불렸다 → 경희궁

•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 덕수궁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1개의 댓글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