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에서 열린 첫 정전회담 → 1951년 7월
• 애치슨 선언이 발표되었다 → 1950년 1월
• 1950년 12월 중국군의 반격에 밀린 국군과 유엔군은 흥남 철수 작전을 전개하였다
• 여수.순천 10.19 사건이 일어났다 → 1948년 10월
• 한미 상호 방위 조약 → 1953년 10월
• 부산에서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 1952년 7월의 사실
• 태평양 지역 방위선을 통해 1950년 1월 미국 국무 장관 애치슨이 발표한 애치슨 선언(한국은 제외)
• 미합중국의 군대가 대한민국에 배치 → 1953년 10월 체결된 한미 상호 방위 조약
• 1953년(전쟁중) 이승만은 미국에게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을 요구했지만, 미국이 별다른 듯을 보이지 않자, 거제도에 수용되어 있던 반공포로를 석방시키며 압박을 가하였고, 정전협정 체결 직후인 1953년 10월에 체결하였다
• 좌우 합작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 1946년
• 여수 순천 10.19 사건이 일어났다 → 1948년
• 미국 의회에서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었다 → 1947년
• 베트남 파병에 관한 브라운 각서가 체결되었다 → 1966년
• 거제도 포로 수용소에 있던 반공 포로가 석방 → 1953년 6월, 정전 협상 진행 중
• 대통령.부통령 직선제, 국회를 민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양원제) → 1952년 발췌개헌
• 헌법 공포 당시의 대통령에 대해서는 중임 제한을 두지 않는다 → 1954년 사사오입 개헌
• 제헌국회에서 제정 → 제헌 헌법
• 발췌 개헌은 6.25 전쟁 중인 1952년 임시 수도인 부산에서 계엄령 아래 기립 표결로 통과되었다
• 대통령의 국회 의원 1/3 추천 조항을 담고 있다 → 유신 헌법
• 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 선거제를 규정 → 제8차 개헌(전두환 정부)
• 호헌 동지회는 사사오입 개헌의 반대를 위해 결성되었다
• 발췌 개헌 → 6.25 전쟁 중인 1952년 7월 부산에서 이루어졌다
• 이승만 대통령의 장기 집권을 목적으로 행해진 사사오입 개헌은 1954년 11월에 이루어졌다
• 중화 인민 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하였다 → 1992년
•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 1996년
• 미국의 요청에 따라 베트남 파병이 시작되었다 → 1964년
• 판문점에서 6.25 전쟁 정전 협정이 조인된 시기는 1953년이다
• 미국과 한미 상호 방위 원조 협정이 체결되었다 → 1950년
• 현 대통령의 3선, 조봉암, 이승만, 선거 →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
• 국회에서 국민 방위군 사건이 폭로되었다 → 1951년
•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조봉암이 많은 표를 획득하자, 이승만 정부는 진보당을 해체(1958)하고 조봉암에서 간첩 혐의를 씌워 사형(1959)에 처하였다
• 경찰이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를 습격하였다 → 1949년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지부가 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다 → 1945년
•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을 폐지하는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 1954년
•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시위에 가담하였다가 실종된 김주열 학생이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되었다는 점, 이 사건을 계기로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는 점 → 4. 19혁명
• 1960년 3.15부정선거에 항의하는 국민 시위가 전국에서 벌어지자 경찰은 이를 무차별하게 진압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종된 김주열 학생이 마산 앞바다에 참혹한 시신으로 떠오르자 분노한 학생과 시민들은 다시 시위를 전개하였다. 이에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대를 동원하여 시위를 진압하려고 하였다. 4월 25일에 대학교수단은 시국 선언문 발표 및 시위를 벌였고, 국민의 저항은 더욱 거세졌다. 결국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하고 미국 하와이로 망명하였다
• 조봉암을 중심으로 진보당이 창당되었다 → 1956년
•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 1948년
•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한 뒤 허정 과도 정부가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