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민족 행위 즉별 조사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 1948년 10월

• 귀속 재산 처리를 위해 신한 공사가 설립되었다 → 1946년 3월

• 38도 이남에 대하여 군정 설립 → 미군이 한반도에 입성하면서 미군정을 선포한 1945년 9월

• 신탁 통치 반대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이후 신탁통치 반대 운동이 전개됨

• 카이로 선언 → 1943년

• 조선 건국 동맹 결성 → 1944년

• 일제 패망 이후 미국과 소련은 한반도를 분할 점령한 후,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1945년 12월에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 12.)를 개최하였다

• 좌우 합작 위원회에서 좌우 합작 7원칙을 합의 하였다 → 1946년

• 유엔 총회에서 인구 비례에 따른 남북한 총선거를 결의하였다 → 1947년

• 좌우합작 7원칙(1946. 10.) →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이승만의 정읍 발언으로 분단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좌우 합작 운동이 전개되었다. 하지만 좌우 합작은 실패로 돌아갔고, 한국 문제 결정권을 이양받은 유엔이 남북 총선거를 결정하였으나 북한 측의 거부로 사실상 총선거가 어려워졌다. 이에 김구, 김규식은 분단을 막기 위해 평양을 방문하여 김일성, 김두봉을 만난 후 (남북협상) 남북 조선 정당, 사회단체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1948. 4.)

• 유상 매수, 유상 분배의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었다 → 1949년 6월

•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한 정읍 발언이 제기되었다 → 1946년 6월

• 한반도 문제 결정권을 이양받은 유엔은 총회를 열어 남북 총선거를 결정(1947년 11월)하였으나, 시행되지 못하였다

• 여운형이 중심이 되어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 1945년 8월

• 국가 보안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이른바 보안법 파동이 발생하였다 → 1958년

• 김구, 김규식, 남북 정치 협상 → 남북 협상

• 허정 과도 정부에서 헌법이 개정되었다 → 4.19혁명 이후

•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 1972년 이후

• 유엔이 소총회에서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를 결정하자 1948년에 김구와 김규식은 남북 협상을 감행하였다

•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었다 → 1949년

• 국가보안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보안법 파동이 일어났다 → 1958년

• 제주도,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반대하는 세력 진압 → 제주 4.3사건

• 허정 과도 내각이 성립되는 배경 → 4.19혁명

• 전개 과정에서 3.1민주구국선언(1976)이 발표되었다 → 유신 체제 저항

• 2000년에 제주 4.3사건으로 희생된 사람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 귀속 재산 처리를 위한 신한 공사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 광복 후 일제의 재산 처리

•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5.18 민주화 운동(1980)

•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단독정부는 절대 반대 → 유엔총회에서 남한만의 단독선거가 결정된 이후의 성명문

• 1947년 2월, 김구는 5.10총선거를 감독하기 위한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방문을 앞드고 단독선거 반대 성명을 발표

• 10월 19일, 제주도 사건 진압, 여수 제14연대, 반란, 좌익 → 여수,순천 10.19 사건(1948)

• 이승만 정부가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 경비대를 제주로 파견하여 제 4.3 사건을 진압하려 하자, 여수 주둔 병력 내의 좌익 세력이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결렬되었다 → 1946년 5월

• 모스크바 삼국 외상회의가 개최되었다 → 1945년 12월

• 좌우 합작 위원회에서 좌우 합작 7원칙이 발표되었다 → 1946년 10월

•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시행되었다 → 1950년 5월

• 1947년 11월, 유엔 총회는 남북한 총선거를 통한 정부 수립을 결의하였으나 소련이 이를 거부하자, 다시 소총회를 열어 선거 감시가 가능한 지역(남한)에서만 선거를 실시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에 다라 1948년 5월, 우리나라 최초의 보통 선거인 5.10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 낙동강 방어선으로 후퇴, 다부종 일대 → 1950년 8월에 전개된 다부동 전투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