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군 양성을 위해 신흥 강습소를 세웠다 → 서간도 지역의 독립운동
• 권업회는 이성설을 중심으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연해주)에서 조직된 단체로, 기관지인 권업신문을 발행하였다
• 숭무 학교를 설립하여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다 → 멕시코 지역의 독립운동
• 한인 비행 학교를 세워 독립군 비행사를 양성하였다 → 미주 지역의 독립운동
• 대일 항전을 준비하기 위해 조선 독립 동맹을 결성하였다 → 중국 지역의 독립운동
• 이민자, 갤릭호, 사탕수수 농장 → 미국 화와이 지역
• 일왕이 탄 마차에 폭탄을 투하하였다(1932, 이봉창) → 일본 도쿄 지역의 독립운동
• 한인 자치 단체인 권업회를 조직하였다 →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 민족 교육을 위해 서전서숙을 설립하였다 → 북간도 지역의 독립운동
• 독립군 양성을 위해 신흥 강습소를 세웠다 → 서간도 지역의 독립운동
• 대한인 국민회 하와이 지방 총회는 박용만을 중심으로 대조선 국민 군단을 결성하였다
• 조선 청년 독립단, 독립을 성취할 것을 선언, 동경 → 2.8독립선언(1919)
• 2.8독립선언은 1919년에 일본 도쿄(동경)의 조선인 유학생들이 기초하여 발표한 것으로, 일제의 한반도 침략과 강제 병합을 규탄하고, 일제와 열강에게 한국의 독립을 요구한 것이다. 또한 국내로 전파되면서 3.1운동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 박상진 등이 대한 광복회를 결성하였다 → 1915년
•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장지연)이 게재되었다 → 1905년
• 독립협회가 중심이 되어 독립문을 건립하였다 → 1897년
• 고종의 밀지를 받아 독립 의군부가 조직되었다 → 1912년
• 국내에서 대규모 만세 시위인 3.1운동이 발생하자(1919), 민족 대표 33인이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를 발표한 후 자진 체포되었고, 이후 민중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 파고다공원, 민족의 자결권, 붕어하신 고종 → 3.1운동(1919)
• 조선 형평사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 형평 운동
• 신간회에서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1930)
•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지침으로 삼았다 → 의열단
• 제암리 학살은 3.1운동 과정에서 일제가 저지를 잔인한 탄압의 대표적 사례이다
• 성진회와 각 학교 독서회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 광주 학생 운동
• 연통제 공소 공판 → 1919년~1921년(연통제 운영 시기)
• 이봉창이 앵정문 앞에서 사건을 일으키다 → 이봉창 의거(1932)
• 신규식 등이 대동단결 선언을 발표하였다 → 1917년
•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대일 선면 성명서를 공표하였다 → 1941년
• 김구, 이시영 등이 항저우에서 한국 국민당을 창당하였다 → 1935년
• 충칭에서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한국광복군이 창설 → 1940년
•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국내와의 연락망인 연통제와 교통국이 와해되고 활동이 어렵게 되자 1932년 독립운동의 방략을 논의하기 위해 국민대표 회의를 개최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통령 이승만이 탄핵되고, 박은식이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1925년
• 이승만은 국제 연맹에 위임 통치 청원서를 제출하였고, 이 시건을 계기로 임시 정부에서 탁핵되었다
• 삼균주의에 바탕을 둔 건국 강령이 발표되었다 → 1941년
• 무장 투쟁을 위해 육군 주만 참의부를 조직하였다 → 1923년
• 독립군 비행사 양성을 위해 한인 비행 학교를 설립하였다 → 1920년
• 국민대표 회의를 개최하여 독립운동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1923년
•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하여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 1919년
•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 → 1920년
• 봉오동, 청산리 전투의 보복으로 간도 지역의 한인을 참살(간도 참변) → 1920년
• 독립군은 러시아 자유시로 이동하나, 러시아 적군의 무장해제 요구를 거부해 많은 독립군이 희생됨 → 자유시 참변(1921)
• 자유시 참변 이후 독립군은 만주로 돌아와 조직을 정비하여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조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