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을 전개 → 대한 자강회(1906~1907)

• 여성 권리 선언문인 여권통문(1898)을 공표 → 서울 양반 여성들

•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독립협회는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러시아를 비롯한 열강의 이권 침탈을 저지하였다

• 지계사무, 광무, 지계아문 → 광무개혁(1896)

• 대한제국은 1898년부터 1904년까지 양전 사업을 추진하여 근대적 토지 제도와 지세 제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적 토지 소유 증명서인 지계를 발급하였다

• 영남 만인소에 동참하는 유생 → 1881년

• 원수부는 대한 제국 시기인 1899년 고종이 황제의 군 통수권을 강화하기 위해 세운 기관이다

• 남연군 묘를 도굴하려는 독일 상인(오페르트) → 흥선대원군 집권기(1868)

• 제너럴셔먼호를 불태우는 평양 관민 → 흥선대원군 집권기(1866)

• 통신사를 수행하여 일본으로 가는 역관 → 조선 후기

• 대한제국 수립 → 1897년

•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창설 → 1881년

• 군 통수권 장악을 위해 원수부를 설치(1899)한 것은 대한제국 시기, 광무개혁 때 사실

• 서양식 근대 교육 기관인 육영 공원을 설립 → 1886년

• 개화 정책을 담당하는 통리기무아문을 신설 → 1880년

• 중명전, 이토 히로부미, 외교권을 박탈 → 을사늑약(1905)

• 일제는 군대를 동원하여 황제와 대신들을 위협하는 가운데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을사늑약을 체결하였다. 이에 따라 일제는 통감부를 설치해 대한 제국의 외교 업무를 관장하였고, 초대통감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하였다

• 을미사변(1895) → 아관파천(1896)의 배경

• 동학농민운동, 조선을 둘러싼 청,일 간의 대립 → 청일전쟁 발발의 원인

• 을사늑약이 체결됨에 따라 1906년에 통감부가 설치되었고,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통감으로 부임해 내정과 외교를 장악하였다

• 대한제국의 군대 해산을 규정 → 한일 신협약(1907)의 부수 비밀 각서의 내용

• 천주교 포교를 허용하는 조항 포함 → 조,프 수호 통상 조약(1886)

• 하얼빈,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 → 안중근

• 안중근은 뤼순 감옥에서 집칠한 ‘동양평화론’을 통해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은 동양의 평화를 위한 의로운 전쟁이다라고 선언했다

• 친일 인사인 스티븐슨을 사살하였다 → 장인환, 전명운

• 5적 처단을 위해 자신회(1907)를 조직 → 나철, 오기호

• 명동 성당 앞에서 이완용을 습격하였다 → 이재명

•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 투척 → 나석주

• 외교관계를 단절, 만국 평화 회의 참석, 네델란드 헤이그 → 헤이그 특사(1907)

• 일제는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로 퇴위 시켰다

•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 거문도 사건(1885~1887)

• 구식 군인들이 일본 공사관을 습격 → 임오군란(1882)

•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정변이 일어났다 → 갑신정변(1884)

• 일본과 미국이 가쓰라,테프트 밀약을 체결 → 미국(필리핀 지배), 일본(한반도 지배) 상호 승인 (1905)

• 이토가 고종에게 일왕의 친서를 전달, 이토가 대신들에게 조야 체결을 강요, 이토가 고종의 윤허 없이 조인 → 을사늑약

• 대한국 국제가 반포 → 광무개혁(1896)

• 별기군 교관으로 일본인이 임명되었다 → 1881년

• 을사늑약의 체결로 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되었다

•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 아관파천(1896)

• 제물포에서 러시아 함대가 일본 해군에게 격침되었다 → 러일전쟁(1904)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