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계문신제를 시행하여 문신들을 재교육 → 조선 정조

• 만권당을 설립하여 원의 학자들과 교류 → 고려 충선왕

• 경당을 설치하여 청소년에게 글과 활쏘기를 가르침 → 고구려

• 이규보의 문집, 시. 가전체 소설 → 동국이상국집

• 신라와 발해를 남북국으로 지칭 → 발해고

• 단군을 우리 역사의 기원으로 기록 → 삼국유사 등

• 연대순으로 기록하는 편년체로 서술 → 조선왕조실록 등

•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는 고구려의 건국 서사시인 「동명왕편」이 실려 있다

•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대 왕의 계보가 수록 → 『제왕운기』

• 문종의 아들, 천태종을 개창 → 의천

• 보현십원가를 지어 불교 교리를 전파 → 고려 균여

• 불교 개혁을 주장하며 수선사 결사를 조직 → 고려 지눌

• 선문염송집을 편찬하고 유불 일치설을 주장 → 고려 혜심

• 불교 관련 설화를 중심으로 삼국유사를 저술 → 고려 일연

• 교관겸수를 내세워 교종과 선종의 수행 방법을 모두 중시하였다 → 고려 의천

• 돈오점수, 송광사 → 지눌

• 승려들의 전기를 담은 해동고승전을 집필 → 고려 승려 각훈

•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엉 사상을 정리하였다. → 신라 의상

• 지눌은 권수정혜결사문을 통해 정혜쌍수를 제창하였다

• 불교 경전에 대한 주석서를 모아 교장을 편찬하였다 → 고려 의천

• 보현십원가를 지어 불교 교리를 대중에게 전파 → 고려 균여

• 원의 영향, 원각사지 십층 석탑에 영향 →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

•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 통일 신라

• 구례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 통일 신라

•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 통일 신라

• 평창 월정사 8각 9층석탑 → 고려 전기

• 개성 경천사지 10층석탑 → 고려 후기, 조선 원각사지 10층석탑에 영향을 줌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 입상 → 고려시대

• 하남 하사창동 철조여래좌상 → 고려 불상

• 경주 석굴암 본존불 → 통일신라 불상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 고려 불상

•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 고려 불상

•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 고려 불상

• 비취색이 나는 청자, 12세기 중엽에는 고려만의 독창적 기법인 상감 기법이 개발 상감청자는 13세기 중엽까지 주류를 이루었으나, 점차 분청사기로 바뀌어갔다 → 고려 시대

• 도기 연유인화문 항아리 → 통일신라

• 청동 인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 고려시대 청동병

•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 → 조선시대

• 분청사기 상감 구름 용무늬 항아리 → 조선시대

• 1388년 →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정권을 장악

• 1391년 → 조준 등의 건의로 과전법을 제정한 것은 고려 말

• 1394년 → 한양을 도읍으로 정함

• 1395년 → 경복궁 건설

• 주자소를 설치, 계미자 → 조선 태종

• 경국대전을 완성하여 법령을 정비 → 조선 성종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