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폐가 발행되어 성종때 건원중보를 시작으로 숙종 때에는 삼한통보, 해동통보 등의 동전과 은병(활구) 제작

• 모내기법이 전국적으로 확산 → 조선 후기

• 초량 왜관을 통해 일본과 무역 → 조선 후기

• 독점적 도매상인인 도고가 활동 → 조선 후기

• 감자, 고구마 등의 작물이 널리 재배되었다 → 조선 후기

• 고려 → 개경에 상행위를 감독하고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경시서라는 관청을 두었다.

• 조선 → 고려의 경시서는 조선 세조 때 평시서로 개칭되었다.

• 김준(최우 다음 무신)에게 물품을 보낸다, 교정별감 → 고려

• 건원중보(성종), 삼한통보, 해동통보, 활구(숙종) 등 다양한 화폐가 발행되었으나 유통이 부진하였다

•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가 국게 무역항으로 발전하여 활발한 대외 무역이 이루어졌다 → 고려

• 동시전을 설치하여 시장을 감독 → 신라

• 해동통보, 활구(은병) 등 화폐 발행 → 고려 숙종

• 감자, 고구마 등이 구황작물로 재배 → 조선 후기

• 청해진을 중심으로 해상 무역이 전개 → 통일 신라

• 계해약조를 맺어 일본과의 무역을 규정 → 조선 전기

• 고려시대에는 성종 때 건원중보를 시작으로 숙종 때 은병(활구), 해동통보, 심한통보 등의 화폐를 주조하였다

• 인삼, 담배가 상품작물로 재배되었다 → 조선 후기

• 내상, 만상 등이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하였다 → 조선 후기

• 덕대가 물주에게 자금을 받아 광산을 경영하였다 → 조선 후기

• 공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대동법이 시행 → 조선 후기

• 고려의 농민 생활과 국가 재정의 안정을 위한 사회보장 대책 → 동.서 대비원, 혜민국 등의료기관

• 고려의 급작스러운 재난으로부터 백성을 구제하기 위한 대책 → 구제도감, 구급도감

• 고려의 물가 조절을 위한 → 상평창 설치

• 고려의 빈민 구제를 위한 → 제위보

• 개경이라는 수도, 빈민 구제 기구인 구제도감 → 고려 시대

• 물가 조절을 위해 상평창을 설치 → 고려와 조선

• 병자에게 의약품을 제공하는 혜민국이 있었다 → 고려와 조선

• 환자 치료와 빈민 구제를 위해 동․서 대비원을 두었다 → 고려와 조선

• 국산 약재와 치료 방법을 정리한 향악집성방이 간행 → 조선 세종

• 기금을 모아 그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제위보를 운영 → 고려

• 구제도감, 중서성, 의창 → 고려 시대

• 을파소의 건의로 진대법 시행 → 고구려

• 기근에 대비하기위해 구황촬요가 발간 → 조선 명종

•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법을 소개한 농사직설이 편찬됨 → 조선 세종

• 국산 약재와 치료 방법을 정리한 향악집성방이 간행 → 조선 세종

• 고려 시대에는 기금을 모아 그 이자로 빈민을 도와주는 제위보가 운영되었다. 고려 광종 때 설치

• 유랑민을 구휼하는 활인서를 두었다 → 조선

•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는 진대법을 실시 → 고구려

• 국산 약재와 치료법을 소개한 향악집성방 → 조선

• 기근에 대비하기 위해 구황촬요를 간행하여 보급 → 조선

• 고려는 제위보를 통해 기금을 조성하여 그 이자로 빈민을 구휼하였다

• 최충의 문헌공도, 국자감 → 고려 시대

• 사학이 융성해지고 관학이 위축되자 관학 진흥을 위해 서적포(숙종), 7재와 양현고, 청연각.보문각(예종)

• 고려 예종은 관학은 진흥하기 위해 장학 재단인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 서원을 세워 후진 양성과 선현 제현에 힘씀 → 조선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